수사 ()

목차
고대사
제도
삼국시대 고구려의 지방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의 지방관직.
내용

고구려는 4세기경부터 각 방면 교통로의 성(城)과 곡(谷)을 단위로 지방통치조직을 정비하기 시작하여 성수(城守)와 곡수(谷守)라는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수사’는 이러한 계통의 지방관으로 5세기 전반 「모두루묘지 牟頭婁墓誌」에 ‘영북부여수사(令北夫餘守事)’, 5세기 후반에 건립된 「중원고구려비 中原高句麗碑」에 ‘고모루성수사(古牟婁城守事)’ 등의 사례가 보인다.

북부여는 송화강 중류의 길림일대에 위치하였던 부여의 중심지이고, 고모루성은 광개토왕이 396년(영락 6) 백제로부터 획득한 58성 가운데 하나이다. ‘수사’는 4·5세기경 각 지방 중심지에 파견된 지방관이었던 것이다.

더욱이 모두루의 조부들이 북부여 지역의 성민(城民)·곡민(谷民)을 다스렸다고 하므로 수사는 여러 성·곡을 통괄하던 상위 지방관으로 추정된다. 또한, 고모루성수사가 모종의 군사활동을 한 것으로 보아 군사지휘관을 겸하였다고 여겨진다.

이로 보아 수사는 ‘수(守)’라는 명칭처럼 수(守)-재(宰)라는 2단계 지방통치조직의 상위 지방관 또는 군(郡) 태수(太守)와 동일한 실체로 파악된다. 이에 비해 수사를 여러 군급(郡級)·현급(縣級) 행정단위를 포괄하는 3단계 지방통치조직의 최상위 지방관으로 이해하는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고구려 중·후기 중앙집권적 지방통치체제의 전개과정」(김현숙, 『한국고대사연구(韓國古代史硏究)』 11, 1997)
「5∼7세기 고구려(高句麗)의 지방제도(地方制度)」(노태돈, 『한국고대사논총(韓國古代史論叢)』 8, 1996)
「고구려(高句麗) 집권체제(集權體制) 성립과정(成立過程)의 연구(硏究)」(임기환, 경희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1995)
「3세기 후반∼4세기 전반 고구려의 교통로와 지방통치조직」(여호규,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 91,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