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산해인사결계량기 ()

목차
불교
작품
898년(효공왕 2) 신라 말의 학자 최치원(崔致遠)이 해인사의 사역(寺域)을 확정한 전후 사실을 기록한 글.
목차
정의
898년(효공왕 2) 신라 말의 학자 최치원(崔致遠)이 해인사의 사역(寺域)을 확정한 전후 사실을 기록한 글.
내용

해인사는 802년(애자왕 3)에 순응(順應)이 창건하였으며 창건 당시는 그 규모가 작았다. 약 100년이 지난 897년 가을에 다시 중창할 것을 합의하고 90일 동안 참선한 뒤 3층의 집을 짓고 4층의 누를 올려 사역을 크게 확장하였다.

이에 최치원은 898년 정월에 기문을 써서 그 연유를 밝히고, 해인사를 금강석처럼 단단하고 좋은 명당에 우뚝 솟은 옥 같은 사찰이라고 한 뒤, 마음을 깨끗이 하고 계(戒)로써 걱정을 방지하여 잡귀의 방해를 피해야 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이 도량기는 신라 말의 불교사 및 해인사의 상황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신라하대의 해인사와 화엄사」(최원식, 『한국사연구』49, 1985)
「신라 화엄학승의 계보와 그 활동」(김상현, 『신라문화』1, 1984)
집필자
김상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