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창사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양계에 두었던 5품 내지 6품 관직.
이칭
이칭
감세사(監稅使)
제도/관직
설치 시기
고려 전기
폐지 시기
고려 말
내용 요약

감창사는 고려시대 양계(兩界)에 두었던 5품 내지 6품 관직이다. 양계 지역에 파견되어 창고와 조세의 관리와 감독, 지방관의 포폄(褒貶), 지방 권세가의 비행 적발 등을 담당하였다. 1064년(문종 18)에 왕명에 따라 동북 양계의 감창사(監倉使)가 모두 제고사(祭告使)를 겸하였으며, 1173년(명종 3)에는 북방의 5도 즉, 북계(北界)의 운중도(雲中道)와 흥화도(興化道), 동계(東界)의 명주도(溟州道)·삭방도(朔方道) · 연해도(沿海道)의 감창사로 하여금 권농사(勸農使)를 겸하게 하였다가 뒤에 권농사를 별도로 설치하였다.

정의
고려시대, 양계에 두었던 5품 내지 6품 관직.
설치 목적

금석문(金石文)에는 감세사(監稅使)로 나오기도 한다. 처음 설치된 연대는 분명하지 않으나, 1049년(문종 3)의 기록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임무와 직능

감창사(監倉使)의 직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혀진 것은 없으나, 『고려사(高麗史)』의 관련 기사를 통해 볼 때 주로 창고와 조세의 관리 및 감독, 조세의 면제, 주5주4, 양계(兩界)로 수송되는 군량과 관련된 부정을 막는 임무 등을 맡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방 관원의 옳고 그름을 판단해 아뢰고, 지방에서 횡포를 부리는 사심관(事審官)이나 권세가의 처벌, 백성의 거주지 강제 이전을 위한 미개척지 탐사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등 병마사(兵馬使)의 업무를 보완 · 분산하는 역할도 맡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임기에 대한 명확한 기록이 없어, 일정 기간 동안 관할 지역을 순행하고 개경(開京)에 돌아와 결과를 보고하고 임무를 마쳤는지, 비정기적으로 파견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품직주3은 대개의 경우 5품직 또는 6품직으로 임명되었으며, 서북계(西北界)의 운중도(雲中道) · 흥화도(興化道)와 동북계(東北界)의 연해도(沿海道) · 명주도(溟州道) · 삭방도(朔方道)와 동북로(東北路) 등에 파견되었다. 그러나 동북로 감창사나 동로감창사(東路監倉使)와 같이 해당 도가 아니라 서북면 · 동북면의 광역 단위로 파견되는 경우도 있었던 것을 보면 필요에 따라 필요한 지역에 파견되었던 것 같다.

1064년(문종 18)에 10여 도에 파견된 춘추외산제고사(春秋外山祭告使)를 따르는 사절이 번거롭고 많아 주2가 피폐해지자 동북 양계의 감창사와와 패서도(浿西道)의 안찰사(按察使)가 모두 제고사(祭告使)를 겸하도록 하였다. 또한, 1173년(명종 3)에는 남방 7도의 안찰사와 동북 양계의 5도 감창사로 하여금 모두 권농사(勸農使)를 겸하게 하였다가 훗날에는 감창사를 별도로 파견하기도 하였다.

같은 지방관으로서 감창사와 병마사는 각각 중앙과 직접 연결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전자를 후자에 대한 견제책으로 보고 당시에 이원적 통치 체계를 이루고 있었다는 주장과 병마사 외에 민사를 주로 하는 감창사를 설치해 이중 체제를 이루고 있었으나 감창사는 병마사에 예속되는 분직원이었다는 주장이 있다.

변천사항

이러한 감창사 제도는 1269년(원종 10) 이후에는 기록이 보이지 않으며, 또한 1270년(원종 11) 서경(西京)에 원나라의 동녕부(東寧府)가 설치됨으로써 양계에 대한 고려의 실질적인 지배가 없어진 점 등으로 미루어 보아 이 무렵에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한국금석문추보(韓國金石文追補)』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단행본

변태섭, 『고려정치제도사연구』(일조각, 1971)

논문

김남규, 「고려양계의 감창사에 대하여」(『사총』 17·18,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1973)
변태섭, 「고려양계의 지배조직」(『고려정치제도사연구』, 일조각, 1971)
이정기, 『고려 시기 양계 통치체제 연구』(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주석
주1

고려ㆍ조선 시대에 군사적으로 중시되던 동계(東界)와 서계(西界)를 아울러 이르던 말. 동계는 함경도와 강원도의 일부 지역에, 서계는 평안도 지역에 해당된다.

주2

역마(驛馬)를 바꿔 타는 곳과 통하는 길.

주3

벼슬의 품계. 우리말샘

주4

재난을 당하거나 가난한 사람들에게 돈이나 물품을 주어 도움. 우리말샘

주5

흉년으로 먹을 양식이 모자라 굶주림.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