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보광리 석조 여래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강릉 보광리 석조여래좌상
강릉 보광리 석조여래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에 있는 고려 초기의 불상.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에 있는 고려 초기의 불상.
내용

전체 높이 1.7m. 1992년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현재 이름을 알 수 없는 사지(寺址)에 위치해 있다. 원래 인근 암자인 석불사(石佛寺)가 위치한 곳에 묻혀 있던 것을 옮겨 세운 것이라는 구전(口傳)이 전해지지만 정확한 출토지는 알 수 없다.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와 대좌(臺座)를 모두 갖추고 있다. 광배의 윗부분이 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 광배와 불상은 하나의 돌로 조성되어 있고, 대좌는 상 · 중 · 하대가 각각 별석(別石)이다.

나발(螺髮 : 부처의 머리카락. 소라 껍데기처럼 틀어 말린 모양)의 머리 위에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비교적 크다. 그리고 두 귀는 길어 어깨에 이른다. 비교적 양감 있는 얼굴에는 광대뼈가 두드러지고 입의 양 끝이 아래로 처져 있다.

머리 크기에 비해 빈약한 불신(佛身)에는 우견 편단(右肩偏袒 : 오른쪽 어깨가 드러남)의 불의(佛衣)가 걸쳐져 있으며, 왼쪽 어깨 위에서 반전되었다. 팔과 손은 가늘고 빈약하게 표현되어 있다. 오른손은 가슴까지 들어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고 있고, 왼손은 결가부좌(結跏趺坐)한 무릎 위에 올려놓고 있다.

마치 괴체(塊體 : 덩어리 모양)와 같은 하체는 도식적인 주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광배는 2줄의 융기선으로 두광(頭光 : 부처나 보상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과 신광(身光 : 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을 구획하고 있다. 가장자리에는 불꽃무늬를, 내부에는 덩굴무늬를 새기고 있다.

대좌는 전형적인 팔각연화대좌(八角蓮華臺座)로 상 · 중 · 하대를 모두 갖추고 있다. 하지만 현재 팔각의 중대(中臺)는 불상 뒤쪽에 따로 놓여져 있고 상대와 하대만 놓여져 있는 상태이다. 상대(上臺)는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이 2단으로 조각되어 있다.

연꽃잎마다 꽃무늬가 있다. 하대(下臺)는 굵직한 복련(覆蓮 : 아래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광대뼈가 튀어나온 다소 투박한 듯한 얼굴 모습, 신체에 비해 빈약한 팔과 손, 대좌 상대의 꽃무늬, 투박한 하대 등의 특징으로 미루어 고려시대 초기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임영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