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남사 마애여래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안성 석남사 마애여래입상
안성 석남사 마애여래입상
조각
유물
문화재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중리에 있는 고려 전기의 불상.
목차
정의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중리에 있는 고려 전기의 불상.
내용

전체 높이 5.3m, 불상 높이 4.5m. 1981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석남사에서 1km가량 떨어진 산속에 높이 7m, 너비 6.5m에 달하는 거대한 암벽의 벽면에 거의 꽉 차게 조각되어 있다.

석남사를 아래로 굽어보고 있는 이 마애불입상은 얕은 돋을새김으로 조각되어 있다. 그리고 3중의 원형 두광(頭光 : 부처나 보상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과 신광(身光 : 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의 연화좌를 갖추고 있다.

소발(素髮)의 머리 위에 큼직한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있다. 귀는 마치 머리카락처럼 얼굴 양옆으로 늘어져 어깨에 닿을 듯하다. 넓적한 얼굴에 눈은 옆으로 길게 뻗어 있다. 입술은 두툼하며, 턱에는 깊은 주름이 파여 있다. 이 같은 투박한 비만형의 얼굴 모습과 신체의 굴곡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 원통형의 불신(佛身), 도식적인 옷자락의 주름 처리 등은 주로 고려시대에 많이 나타나는 표현들이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굵으며, 신체에 비해 손가락은 가늘고 길다.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손바닥을 안쪽으로 하여 가슴에 대고 있다. 오른손은 손바닥을 바깥쪽으로 향하게 하여 검지만을 펴고 다른 손가락은 접고 있다.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의 불의(佛衣)는 양쪽으로 길게 뻗어 내려 바닥에 이르고 있다. 그 사이 U자형 주름은 가슴에서 배를 지나 양다리로 갈라진다. 불의 안에는 내의와 내의를 묶은 띠 매듭이 선명하다. 연화좌 위의 두 발은 발가락만을 도드라지게 표현하고 있다.

이 마애불입상은 바위에 몇 가닥의 균열이 생기면서 불상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얼굴에 균열이 세로로 생겨 있다. 또한 눈·코 등의 각 부분이 다소 손상을 입었지만 이를 제외하고는 불신·광배·대좌가 거의 완전하다. 투박한 얼굴 모습, 괴체감이 엿보이는 불신, 띠 매듭 표현, 도식화된 옷주름 등으로 미루어 이 작품은 고려시대 전기에 제작된 당대의 수작(秀作)이라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경기도문화재대관(京畿道文化財大觀) -경기도지정편(京畿道指定篇)-』(경기도, 1990)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임영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