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조 보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목조보살좌상
목조보살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조선시대의 목조보살좌상.
목차
정의
조선시대의 목조보살좌상.
내용

높이 54cm. 1990년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전체적인 조각 기법으로 보아 조선시대의 목조보살좌상으로 보인다. 통나무를 깎아 조각하여 보살상을 만들고 양손은 따로 끼워 넣었다. 그러나 왼손은 없어진 상태이다. 상의 여러 군데에 금칠을 하였던 흔적이 보인다.

머리카락은 위로 틀어 올려 상투형으로 묶었다. 원래는 보관을 쓰고 있었을 것으로 짐작되지만 현재 남아있지 않다. 보관 아래로는 몇 갈래의 보발(寶髮)이 귓밥을 싸고 어깨로 흘러내리고 있다. 이와 같이 상투형 머리에 어깨까지 흘러내리는 머리카락의 표현은 고려 후기 보살상에서 자주 보이는 형태를 답습한 것으로 여겨진다.

얼굴은 둥글고 살이 올라 있으며 눈썹은 없으나 가느다란 두 눈이 아래를 향하고 있다. 삼각형의 콧부리 위에 둥근 백호(白毫 : 부처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가는 터럭)가 있으며 작은 입술은 미소를 띠고 있다. 이처럼 마치 나이 어린 동자와 같은 얼굴 모습은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신체 구조 역시 인체의 사실적인 느낌은 없고 조선시대 일반적인 불상처럼 형식화가 엿보인다. 상체를 보면 목은 밭아서 앞으로 내밀고 있다. 굵게 주름진 삼도(三道)가 표현되어 있으며 어깨도 약간 앞으로 굽어 있다. 가슴까지 위로 올린 오른손의 손가락은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다.

왼손은 없어졌으나 왼쪽 손목이 무릎 위에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보살상은 아마타불의 중품하생(中品下生 : 극락정토에 왕생하는 아홉 등급 가운데 하나)을 짓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불상의 대의(大衣 : 설법을 하거나 걸식을 할 때에 입는 중의 옷)와 같은 천의(天衣 : 천인(天人)이나 선녀의 옷)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으로 두르고 있다. 옷자락이 두껍고 투박한 느낌을 준다.

U자형으로 넓게 파인 가슴에는 그 사이를 가로지르는 내의(內衣)의 띠주름이 보인다. 결가부좌(結跏趺坐)한 하체는 안정감이 있는데 위로 올린 오른 발목 위로 삼각형의 옷주름이 굵게 새겨져 있다.

이 보살상에 나타나는 평면적인 신체 구조와 간략화된 옷주름, 두꺼운 불의 그리고 순박하면서도 정감 넘치는 방형(方形 : 네모반듯한 모양)의 얼굴 등은 전형적인 조선시대 불교 조각의 특징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참고문헌

『인천직할시립박물관도록』(인천직할시립박물관, 199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임영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