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달사 ()

목차
관련 정보
여주 고달사지
여주 고달사지
불교
유적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에 있었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사찰.
목차
정의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에 있었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사찰.
내용

764년(경덕왕 23)에 창건되었으나 창건자는 미상이다. 신라 구산선문 중 봉림산파를 열었던 현욱(玄昱, 787∼868)이 절을 중건하였고, 862년(경문왕 2) 훗날 진경대사(眞鏡大師)로 불리운 신라말의 고승 심희(審希)가 이곳에서 현욱의 제자가 되었다.

고려 광종 이후 역대왕의 비호를 받아 대찰(大刹)의 면모를 유지하였는데, 원종 찬유(元宗璨有)는 진경대사에게 법을 이어 받은 후 고달사에서 28년간 주석하며 중창하여 고려 초 3대 사찰 가운데 하나가 될 정도로 규모가 커졌다. 그 뒤의 역사는 자세히 알 수 없고, 대략 17세기 후반 무렵에 폐사된 듯하다.

이 곳에는 1962년 국보로 지정된 여주 고달사지 승탑과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여주 고달사지 석조대좌 및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이 남아 있으며,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와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 보호하고 있다. 2000년 이후 경기도립박물관에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고달사지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해오고 있다.

참고문헌

『전통사찰총서』 3(사찰문화연구원, 1993)
『문화유적총람』 상(문화재관리국, 1977)
집필자
김위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