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성 ()

불교
인물
조선시대 때, 판선교도총섭, 팔도도총섭, 규정도총섭 등을 역임한 승려.
이칭
징원(澄圓)
벽암(碧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75년(선조 8)
사망 연도
1660년(현종 즉위년)
본관
김해(金海)
출생지
충청북도 보은
주요 저서
선원집도중결의(禪源集圖中決疑)|간화결의(看話決疑)|석문상의초(釋門喪儀抄)|부휴당집(浮休堂集)
주요 관직
판선교도총섭 규정도총섭 팔도도총섭
내용 요약

각성은 조선시대 판선교도총섭, 팔도도총섭, 규정도총섭 등을 역임한 승려이다. 자는 징원(澄圓)이고 호는 벽암(碧巖)이며 각성은 법명이다. 10세에 출가하여, 부휴의 제자가 되어 속리산, 금강산 등에서 정진하였다. 임진왜란 때 해전에 참여하였다. 1624년 팔도도총섭이 되어 남한산성을 완성하였다. 1646년 화엄사에서 86세로 입적하였다. 선과 교에 모두 뛰어나 정혜쌍수와 교관겸수를 실천하였고, 화엄 등 교학에도 정통하였다. 저서로는 『선원집도중결의』, 『간화결의』, 『석문상의초』가 있다.

정의
조선시대 때, 판선교도총섭, 팔도도총섭, 규정도총섭 등을 역임한 승려.
개설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징원(澄圓), 호는 벽암(碧巖), 법명은 각성(覺性). 충청북도 보은 출신. 어머니는 조씨(曺氏)이다. 임진왜란병자호란승군(僧軍)을 이끌었으며, 남한산성을 완성시키고 사고(史庫)를 보호하였다.

생애와 활동사항

10세에 설묵(雪默)에게서 출가하였으며, 14세에 보정(寶晶)에게서 구족계를 받은 뒤 부휴 선수(浮休善修)의 제자가 되어 속리산 · 덕유산 · 가야산 · 금강산 등에서 정진하였다. 임진왜란 때 해전에 참여하였다. 1600년에는 지리산 칠불사(七佛寺)에서 강석을 열었다. 1612년(광해군 4)에 스승인 선수가 무고로 투옥되자 그도 연루되어 옥에 갇혔지만, 광해군이 그의 덕에 감복하여 판선교도총섭(判禪敎都摠攝)에 임명하여 봉은사에 머물게 하였다. 그곳에서 동양위(東陽尉) 신익성(申翊聖)을 비롯한 많은 사대부와 사귀었다. 부휴 선수의 문하에서 20여 년을 수행하고 법을 전수받았다. 1617년 광해군이 청계사(淸溪寺)에서 큰 를 열었을 때 설법하였다.

1624년 조정에서 남한산성을 쌓을 때 팔도도총섭으로 임명되어 승군을 이끌고 3년 만에 성을 완성시키자, 보은천교원조국일도대선사(報恩闡敎圓照國一都大禪師)라는 직함과 함께 주1을 하사받았다. 1632년 구례 화엄사를 중수하여 대총림으로 만들었으며,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의승군 3,000명을 모아서 항마군이라 이름 짓고, 호남의 관군과 함께 남한산성으로 향하다가 인조의 항복 소식에 통곡하며 돌아왔다. 전쟁이 끝나자 지리산으로 들어가서 『도중결의(圖中決疑)』와 『참상선지(參商禪旨)』 등을 저술하였다.

1640년 봄 쌍계사(雙磎寺)를 중수하였고, 그 해 8월에 호남관찰사(湖南觀察使) 원두표(元斗杓)의 청으로 규정도총섭(糾正都摠攝) 직을 맡아서 무주 적상산성(赤裳山城)에 있는 사고를 보호하였다. 1641년(인조 19) 백운산 상선암(上仙庵)에 머물렀으며, 1642년 조정에서 천거하여 일본행 사신으로 삼았는데, 선사는 서울로 가다가 노환으로 되돌아왔다. 한편 효종이 즉위하기 전에 안주(安州)에서 만나 화엄(華嚴)의 종지(宗旨)를 물어서 답한 적도 있다. 1646년 희언(熙彦)과 속리산 보은 법주사에 은거하다가 화엄사에서 입적하였다. 나이 86세, 주2 73세였다.

학문세계와 사상

선과 교에 모두 뛰어나 정혜쌍수(定慧雙修)교관겸수(敎觀兼修)를 실천하였고, 화엄 등 교학에도 정통하였다. 은혜를 잊지 않는다, 부끄러운 짓을 하지 않는다, 허리를 굽히지 않는다”는 주3을 지어 스스로 지키고 제자들을 가르쳤다. 대표적인 제자로는 취미 수초(翠微守初)백곡 처능(白谷處能)이 있으며, 문하의 제자들이 취미파(翠微派) · 백곡파(白谷派) · 침허파(枕虛派) · 고운파(孤雲派) · 동림파(東林派) · 연화파(蓮花派) · 벽천파(碧川派) 등 7파로 나뉘어 그의 선법을 크게 전파하였다. 저서로는 『선원집도중결의(禪源集圖中決疑)』, 『간화결의看話決疑』, 『석문상의초(釋門喪儀抄)』가 있으며, 스승의 시문집인 『부휴당집(浮休堂集)』 5권을 편찬하였다.

참고문헌

『한국고승비문총집-조선조·근현대』(이지관,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한국불교사상사(韓國佛敎思想史)』(숭산박길진박사화갑기념사업회, 원불교사상연구원, 1975)
『조계고승전(曹溪高僧傳)』(금명보정, 필사본, 1930)
『이조불교(李朝佛敎)』(고교형, 보문관, 1929)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이능화, 신문관, 1918)
주석
주1

가사(袈裟)와 바리때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승려가 된 뒤로부터 치는 나이. 한여름 동안의 수행을 마치면 한 살로 친다. 우리말샘

주3

가르쳐서 훈계하는 말. ‘시간은 금이다.’,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 마라.’ 따위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위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