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초 ()

고산 석왕사 산문
고산 석왕사 산문
불교
인물
조선 후기, 부휴계 벽암 각성의 수제자로 『취미대사시집』을 저술한 승려.
이칭
취미(翠微)
태혼(太昏)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90년(선조 23)
사망 연도
1668년(현종 9)
본관
창녕 성씨(昌寧成氏)
출생지
서울
주요 저서
취미대사시집
주요 작품
취미대사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수초(守初, 1590~1668)는 조선 후기 부휴계 벽암 각성(碧巖覺性)의 수제자로 『취미대사시집(翠微大師詩集)』을 저술한 승려이다. 성삼문(成三問)의 후손으로 유학에도 정통하였고 선과 교를 널리 폈다. 수선은 부휴계의 적전 계보를 이었으며, 제자로는 백암 성총(栢庵性聰)이 있다.

정의
조선 후기, 부휴계 벽암 각성의 수제자로 『취미대사시집』을 저술한 승려.
가계 및 인적사항

수초(守初, 1590~1668)는 창녕 성씨(昌寧成氏)로 사육신의 한 사람인 성삼문의 후손이다. 1590년 서울 성균관의 북쪽에서 태어났다. 수미의 법호(法號)는 취미(翠微), 법명은 수초(守初)이며, 자는 태혼(太昏)이다.

주요 활동

수초는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설악산으로 가서 경헌(敬軒)에게 출가하였다. 1606년(선조 39) 두류산(頭流山)에서 부휴계조사 부휴 선수(浮休善修, 1543∼1615)에게 구족계를 받았다. 이후 선수는 수제자 벽암 각성(1575∼1660)에게 '후일에 우리의 도를 크게 할 것이니 그를 잘 가르치라'고 당부하였다. 수초는 각성의 법을 잇고 여러 고승들을 찾아다니며 불도를 배웠다. 그는 당대의 명유(名儒)이자 고위 관료였던 김육(金堉) · 이식(李植) · 이안눌(李安訥) · 장유(張維) 등과 시를 주고받으며 교유했다.

1629년(인조 7) 수초는 옥천 영축사(靈鷲寺)에서 개당하여 후학을 양성하였다. 1632년에 그는 함경도 안변 석왕사(釋王寺)의 초청을 받아 석왕사로 갔다. 이러한 인연으로 1644년에 수초의 스승 벽암 각성이 석왕사를 중창(重創)했다. 또한 18세기 전반에는 부휴계 회암 정혜(晦庵定慧, 1685∼1741)가 석왕사에서 강석을 열기도 하였다. 이처럼 수초는 관북 · 관서 지방을 유력하였고, 영남과 호남에서도 교화를 펼치는 등 전국을 무대로 활동하였다.

어느 날 수초가 『선문염송(禪門拈頌)』을 읽다가 “모든 문자 언어가 이미 다 좁쌀알처럼 되었으니 거기에 또 무슨 맛이 남아 있겠는가.”라고 반문하였다고 한다. 『선문염송』은 고려 말 진각 혜심(眞覺慧諶, 1178∼1234)선종의 공안(公案)과 법어(法語), 게송(偈頌) 등을 모아 펴낸 책으로 조선 후기 승려의 교육 과정인 이력 과정의 최고 단계 대교과에 들어있는 책이었다.

1668년 1월 수초는 주변 사람들에게 북쪽으로 간다고 말하고 2월에 함흥의 오봉산(五峯山) 삼장사(三藏寺)로 자리를 옮겼다. 그리고 그해 6월 그는 ‘무량수불(無量壽佛)’을 염불하다가 서쪽을 향해 앉은 채 입적하였다. 삼장사와 안변 석왕사(釋王寺), 순천 송광사(松廣寺)에 그의 탑이 세워졌다.

그의 제자로 백암 성총(1631∼1700)이 대표적이며, 그 외에 해활(海闊) · 민기(敏機) 등이 있다.

학문과 저술

수초의 저서로는 『취미대사시집(翠微大師詩集)』 1권이 있다. 수초는 화엄(華嚴)의 원융무애(圓融無碍)를 기반으로 선교일치(禪敎一致)라는 사상적 전통을 계승하였다. 한편 정토왕생(淨土往生)을 중시하여 성도문(聖道門)과 정토문(淨土門)을 회통(會通)하고자 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취미대사시집(翠微大師詩集)』
『해동불조원류(海東佛祖源流)』
『한국고승비문총집』

단행본

김용태, 『조선후기불교사 연구』(신구문화사, 2010)
高橋亨, 『李朝佛敎』(寶文館, 1929)
이능화, 『조선불교통사』(신문관, 1918)

논문

김용태, 「‘부휴계’의 계파인식과 보조유풍」(『보조사상』 25, 보조사상연구원, 2006)
이대형, 「취미수초의 변려문 연구」(『한마음연구』 7, 대행선연구원, 2021)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용태(동국대학교 교수, 지역불교 및 불교사 연구(조선시대 불교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