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삼문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세종~세조 대 사간원 우사간, 집현전 부제학, 예조참의 등을 지냈던 문신. 사육신 중 한 명.
이칭
근보(謹甫)
매죽헌(梅竹軒)
시호
충문(忠文)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18년(태종 18)
사망 연도
1456년(세조 2)
본관
창녕(昌寧)
출생지
충청남도 홍성
주요 저서
매죽헌집
주요 관직
집현전 부제학
관련 사건
단종복위운동
내용 요약

성삼문은 조선 세종~세조 대 사간원 우사간, 집현전 부제학. 예조참의 등을 지낸 문신이다. 사육신 중 한 명이다. 세종 대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집현전의 여러 관직을 역임하면서 세종 대의 주요 사업에 참여하였다. 특히, 신숙주와 함께 요동에 질정관으로 파견되어 어문 사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계유정난 이후 박팽년·이개·하위지·유성원·유응부 등과 단종 복위를 시도하였으나 정창손의 사위였던 김질의 고발로 실패하고 처형되었다.

정의
조선 세종~세조 대 사간원 우사간, 집현전 부제학, 예조참의 등을 지냈던 문신. 사육신 중 한 명.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근보(謹甫), 호는 매죽헌(梅竹軒)이다. 충청남도 홍성(洪城) 출신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개성유후(開城留后)를 지낸 성석용(成石瑢), 할아버지는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성달생(成達生), 아버지는 도총관(都摠管)을 역임한 성승(成勝)이다. 어머니 죽산박씨(竹山朴氏)는 현감을 지낸 박첨(朴襜)의 딸이다. 부인 연안김씨(延安金氏)는 김잉(金仍)의 딸이다.

주요 활동

1418년(태종 18) 태어났다. 1435년(세종 17) 주1 생원시에 입격하였다. 1438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447년 문과 중시(重試)에 다시 급제하였다. 성균관 주부(成均館注簿)를 시작으로 집현전 수찬(集賢殿修撰)과 직집현전(直集賢殿) 등의 관직에 임명되었다.

성균관 주부 시절부터 이미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요동에 파견되어 운서(韻書)에 관한 내용을 조사해 오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후 신숙주와 함께 문자 · 음운 등에 관련된 업무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관련 분야의 전문적 지식을 갖추게 되었다.

세종 대 성삼문과 신숙주 등을 요동에 파견한 것은 명나라의 황찬(黃瓚)을 만나 주2주3 등을 주4하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였다. 황찬은 명나라에서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냈으며, 요동에 귀양 와 있었다.

이후 성삼문은 『동국정운(東國正韻)』, 『홍무정운(洪武正韻)』, 『사성통고(四聲通考)』 등을 편찬하는 작업에 참여해 성과를 도출하였다. 집현전 수찬(集賢殿修撰)으로 있을 때는 집현전 학사들과 함께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는 과정에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직집현전(直集賢殿)을 거쳐 단종 대에는 집현전 부제학에 임명되었다.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고, 『병요(兵要)』를 주5하였다.

1453년(단종 1) 사간원 우사간(司諫院右司諫)에 임명되었다.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공적을 인정받아 수충정난공신(輸忠靖難功臣)에 주6되었다. 성삼문은 권준(權蹲)과 함께 공신 녹훈을 사양하였으나 허락을 받지 못하였다. 1454년 집현전 부제학에 주7되었다. 얼마 후 예조참의에 제수되었고, 세조 즉위 후에는 승정원 우부승지(承政院右副承旨)에 임명되었다. 1455년(세조 1) 추충좌익공신(推忠佐翼功臣) 3등에 녹훈되었다.

1456년(세조 2) 좌부승지(左副承旨)로 있을 때, 정창손(鄭昌孫)의 사위였던 김질(金礩)이 세조를 주8하고 성삼문과 박팽년(朴彭年)을 비롯하여 이개(李塏) · 하위지(河緯地) · 유성원(柳誠源) · 유응부(兪應孚) 등이 신숙주(申叔舟) · 권남(權擥) · 한명회(韓明澮) 등을 제거하고 단종을 복위시키고자 도모하였다는 내용을 알렸다.

당시 김질이 가장 먼저 언급한 사람이 성삼문이었다. 세조는 주9하는 군사들과 승지들을 불러 모으고 성삼문을 제압한 뒤 직접 심문하였다. 취조를 통해 성삼문이 박팽년 · 이개 · 하위지 · 유성원 · 유응부 · 박쟁(朴崝) 등이 함께 공모하였다는 사실이 드러나게 되었다. 성삼문은 의금부에 하옥되어 고문을 받다가 주10되었다. 시호는 충문(忠文)이고, 저서로 『매죽헌집(梅竹軒集)』이 남아 있다.

상훈과 추모

성삼문 등은 세조 대 이후에는 역모를 도모한 인물로 평가되었다. 1478년(성종 9) 남효온(南孝溫)문종의 왕비 현덕왕후(顯德王后)의 능인 소릉(昭陵)의 복위에 대한 상소문을 올렸다. 이는 세조를 비롯해 그의 측근들의 정당성을 부정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는 내용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남효온의 상소는 조정에서 논란이 되었다. 성종 대부터 성삼문과 박팽년 등에 대한 평가에 문제를 제기하는 분위기가 있었지만 아직은 조심스러운 상황이었다.

남효온은 「육신전(六臣傳)」에서 성삼문과 박팽년이 단종 복위를 주도하였다고 하였다. 이후 단종 복위와 관련된 6명의 신하에 대한 재평가 작업도 본격화되었다. 중종 대와 선조 대의 논란을 거쳐 1691년(숙종 17) 숙종은 특명을 내려 단종과 여섯 신하의 무덤에 제사를 지냈다. 조정에서 논란이 있었지만 결국 성삼문을 비롯한 여섯 신하의 주11은 회복되었다.

1709년 경상도 의성(義城) 금학산(金鶴山) 아래에 지역의 유생들이 성삼문의 주12를 짓고 박팽년 등 5명의 신하들을 함께 주13하였다. 향사를 주도한 사람들이 조정에 주14을 요청하자 숙종은 이를 받아들였다.

『숙종실록(肅宗實錄)』에는 세조가 성삼문에 대해 "오늘날 난신(亂臣)이나, 후세(後世)에는 충신(忠臣)이다."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확인되고, 『영조실록(英祖實錄)』에는 성삼문이 신숙주를 꾸짖었다는 기록이 있다. 하지만 세조 대와 시기의 차이가 크고 당대의 기록에서도 확인이 어려운 내용이라 역사적 사실로 설명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단종실록(端宗實錄)』
『대동기문(大東奇聞)』
『매죽헌집(梅竹軒集)』
『문종실록(文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성근보집(成謹甫集)』
『송자대전(宋子大全)』
『숙종실록(肅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장릉지(莊陵誌)』
『정조실록(正祖實錄)』
『추강집(秋江集)』
『해동잡록(海東雜錄)』
주석
주1

자(子), 묘(卯), 오(午), 유(酉) 따위의 간지(干支)가 들어 있는 해. 3년마다 한 번씩 돌아오는데, 이해에 과거를 실시하거나 호적을 조사하였다.    우리말샘

주2

말의 소리.    우리말샘

주3

한자(漢字)의 우리말 새김.    우리말샘

주4

묻거나 따져서 바로잡음.    우리말샘

주5

서책(書冊)을 편집하여 펴냄.    우리말샘

주6

훈공을 장부나 문서에 기록함.    우리말샘

주7

추천의 절차를 밟지 않고 임금이 직접 벼슬을 내리던 일.    우리말샘

주8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불러서 만나 봄.    우리말샘

주9

숙직하면서 지킴. 또는 그런 사람.    우리말샘

주10

대역죄를 범한 자에게 과하던 극형. 죄인을 죽인 뒤 시신의 머리, 몸, 팔, 다리를 토막 쳐서 각지에 돌려 보이는 형벌이다.    우리말샘

주11

관직(官職)과 작위(爵位)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2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셔 놓은 집.    우리말샘

주13

신령이나 죽은 사람의 넋에게 음식을 바치어 정성을 나타냄. 또는 그런 의식.    우리말샘

주14

임금이 사당(祠堂), 서원(書院), 누문(樓門) 따위에 이름을 지어서 새긴 편액을 내리던 일.    우리말샘

집필자
이규철(성신여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