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송 ()

한문학
개념
불교에서 붓다의 공덕이나 가르침을 찬탄하는 한시 형식의 노래.
내용 요약

게송은 불교에서 붓다의 공덕이나 가르침을 찬탄하는 한시 형식의 노래이다. 범어에서 나온 '게'와 한시의 '송'을 합하여 '게송'이라 한다. 불교 경전의 내용을 시의 형태로 되풀이하여 설명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가 가장 오래된 게송이다. 이후 고려 말에 운묵의 「석가여래행적송」, 나옹 혜근의 『나옹화상가송』 등이 있다. 조선조에는 함허 득통, 벽송 지엄, 허응당 보우, 경허 성우와 같은 선승들이 경전에 대한 해설이나 자신의 깨달음을 읊은 게송을 창작하였다.

정의
불교에서 붓다의 공덕이나 가르침을 찬탄하는 한시 형식의 노래.
내용

불교적 교리를 담은 한시의 한 형태를 '게송'이라 한다. 주1의 시게(詩偈) · 송고(頌古) · 주2 등을 통칭한다.

'게(偈)'는 범어(梵語)인 '가타(Gatha)' 또는 '기야(Geya)'의 주3인 '가타(伽陀)' · '게타(偈陀)' 또는 '기야(祇夜)'의 약칭이다. 형식상 인물의 성덕을 칭송하는 한문 문체인 송(頌)의 일종이기 때문에 이를 합하여 '게송'이라 하게 되었다. 게송은 범어와 한자어가 합성된 명칭인 셈이다.

인도의 '가타'는 운(韻)이 있는 시의 형식이었는데, 이것을 한문으로 번역할 때 한시의 형식에 맞추게 되면서 '게송'이라는 형식이 발달하게 되었다. 게송은 시의 한 형태로서 독립적인 위상을 가지고 있지만, 원래는 불교 경전의 산문 내용을 시의 형태로 되풀이하여 설명한 것에 해당한다. 그래서 이러한 형식을 주4이라 하였다.

전개 양상

불경의 문체에 세 가지가 있다. 첫째는 주5 또는 주6이라 하여 경의 뜻을 풀어 쓰는 산문이다. 둘째는 '중송' 또는 주7이라 하여 경의 산문을 요약 서술하는 시가의 형태이다. 셋째는 '가타' 또는 '게송'이라 하여 불경의 산문과는 관계없이 불교적 교리를 시가로 표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송이라 함은 둘째와 셋째의 중송과 가타를 함께 일컫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8로 알려져 있는 의상(義湘)「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가 가장 오래된 게송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화엄사상(華嚴思想)을 7언 30구로 구성한 것이다.

고려 말에 운묵(雲默)의 「석가여래행적송(釋迦如來行蹟頌)」은 「석가보(釋迦譜)」를 5언 776구로 구성한 장편의 게송이다. 그러나 엄밀히 분류하면 중송에 해당한다.

고려 말의 나옹 혜근(懶翁 慧勤)의 시집인 『나옹화상가송(懶翁和尙歌頌)』은 불교적 교리의 시가로서 전형적인 가타에 해당한다. 이것을 송(頌)이라 한 것은 넓은 의미에서 게송은 중송과 가타를 아우르기 때문이다.

고려 말에 주9들이 많은 게송을 지었지만, 조선조에는 주10으로 인해 관련 작품의 간행이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함허 득통(涵虛 得通, 주11『금강경삼가해(金剛經三家解)』 「설의(說誼)」에서 게송을 지어 경전의 내용을 해설하였다. 그는 이 게송에서 개념화와 형상화, 반복과 역전의 창작 원리를 수행함으로써, 대중이 쉽게 경전의 내용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또한 『원각경(圓覺經)』을 해설한 「함허해(涵虛解)」에서는 14수의 게송을 지어 경전의 내용을 문학적으로 표현하였다.

중종 대의 벽송 지엄(碧松 智嚴, 1464~1534)은 「벽송당야로송(碧松堂埜老頌)」을 지었다. 자신의 선지(禪旨), 즉 자신의 이상 내지는 이상적인 삶을 다른 승려들에게 내보이는 뜻을 담은 게송 14제 15수와 유학자의 시에 주12 3제 4수, 도합 18제 20수로 이루어져 있다.

허응당 보우(虛應堂 普雨, 1509~1565)『허응당집(虛應堂集)』에는 600여 수의 게송과 시가 있으며, 경허 성우(鏡虛 惺牛, 1846~1912)『경허집(鏡虛集)』에는 자신의 깨달음을 표현한 게송들이 실려있다.

형식 및 의의

게송은 주로 5언과 7언으로 쓰여졌고, 4언과 6언으로 쓴 경우도 있다. 한시의 근체시(近體詩) 형식을 따르되, 후대로 갈수록 근체시의 작법 가운데 운자와 주13, 주14와 대장(對仗)을 고려하여 게송을 짓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와 별개로 주15에 크게 얽매이지 않은 작품들도 나타났다.

게송에는 고도의 상징과 역설, 비유와 은유가 함축되어 있기 때문에 문학 작품으로서의 가치도 갖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종찬, 『한국의 선시: (고려편)』(이우출판사, 1985)
鄭篤, 『中國俗文學史』(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1)

논문

關德棟, 「談變文」(『佛敎與中國文學』, 臺北: 大乘文化出版社, 1977)
문동규, 깨달음과 이상적인 삶-벽송지엄의 『벽송당야로송(碧松堂埜老頌)』을 중심으로(『철학논총』 57, 새한철학회, 2009) /원고의 내용 중 이 논문을 인용한 것으로 보이는 부분을 확인하였습니다. 참고문헌을 교정 작업자가 임의로 추가해도 될까요?/
배규범, 「偈頌의 淵源과 文學性」(『불교어문논집』 8, 한국불교어문학회, 2003)
전재강, 「『금강경삼가해』 함허 설의에 나타난 게송의 상관적 창작원리」(『한국시가문화연구』 41, 한국시가문화학회, 2018)
周叔迦, 「漫談變文的起源」(『佛敎與中國文學』, 臺北: 大乘文化出版社, 1977)
주호찬, 「碧松 智嚴의 禪詩」(『동아한학연구』 1,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5)
주석
주1

참선으로 자신의 본성을 구명하여 깨달음의 묘경(妙境)을 터득하고, 부처의 깨달음을 교설(敎說) 외에 이심전심으로 중생의 마음에 전하는 것을 종지(宗旨)로 하는 종파. 중국 양나라 때 달마 대사가 중국에 전하였다. 우리나라에는 신라 중엽에 전해져 구산문이 성립되었다. 우리말샘

주2

공덕을 기리는 노래. 우리말샘

주3

한자음을 가지고 외국어의 음을 나타내는 일. 우리말샘

주4

산문으로 된 경문(經文) 다음에 다시 그 뜻을 간결하게 묶어서 운문으로 보인 게송(偈頌). 우리말샘

주5

산문체의 경문(經文). 우리말샘

주6

위로는 진리에, 아래로는 중생의 마음에 부합하다는 뜻으로, ‘불경’을 달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산문으로 쓰인 부처의 가르침을 운문으로 다시 쓴 경전. 우리말샘

주8

통일 신라 시대에, 의상이 중국에서 화엄경을 연구하고 그 경의 핵심 내용을 추려서 30구 210자의 게송으로 지은 시. 우리말샘

주9

참선하는 승려. 우리말샘

주10

조선시대에 불교 교세를 억압하기 위해 취한 일련의 정책. (역사용어시소)

주11

함허 대사(涵虛大師): ‘기화(조선 시대의 승려(1376~1433). 속성은 유(劉). 처음 법명은 수이(守夷). 호는 득통(得通)ㆍ함허(涵虛)ㆍ무준(無準). 무학(無學)에게 법을 배우고, 세종의 청으로 대자 어찰(大慈御刹)에 있다가 세종 13년(1431)에 봉암사(鳳巖寺)를 중수하였다. 저서에 ≪현정론≫, ≪원각경소≫, ≪금강경오가해설의≫ 따위가 있다.)’를 높여 이르는 이름. 우리말샘

주12

남이 지은 시의 운자(韻字)를 따서 시를 짓다. 우리말샘

주13

평자(平字)와 측자(仄字)라는 뜻으로, 한문의 시ㆍ부 따위에서 음운의 높낮이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4

글자의 수효. 우리말샘

주15

시가에서, 시행의 일정한 자리에 같은 운을 규칙적으로 다는 일. 또는 그 운.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