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삼가해 ()

불교
문헌
1482년, 『금강경』의 주석서인 함허당(涵虛堂) 기화(己和)의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중 삼가해(三家解)로, 송나라 야보(冶父)의 송(頌)과 종경(宗鏡)의 제강(提綱), 함허당 기화(涵虛堂 己和)의 설의(說誼)를 뽑아 구결을 달고 한글로 번역한 것.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간행 시기
1482년(성종 13)
편저자
문종(文宗), 세조(世祖), 학조(學祖)
권책수
5권 5책
판본
금속활자본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성암고서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금강경삼가해(金剛經三家解)』는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중 삼가해(三家解), 즉 송나라 야보(冶父)의 송(頌)과 종경(宗鏡)의 제강(提綱), 함허당 기화(涵虛堂 己和)의 설의(說誼)를 뽑아 구결을 달고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 5권 5책으로 이루어진 금속활자본이다. 권1부터 권5까지는 『금강경』 32분을 다루며, 책의 끝부분에는 기화의 「득통결의(得通決議)」와 한계희·강희맹의 발문이 달려 있다.

정의
1482년, 『금강경』의 주석서인 함허당(涵虛堂) 기화(己和)의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중 삼가해(三家解)로, 송나라 야보(冶父)의 송(頌)과 종경(宗鏡)의 제강(提綱), 함허당 기화(涵虛堂 己和)의 설의(說誼)를 뽑아 구결을 달고 한글로 번역한 것.
편찬 및 간행 경위

『금강경삼가해(金剛經三家解)』는 1482년(성종 13) 세조의 비인 자성대왕대비(慈聖大王大妃)의 명에 의해 내수사(內需司)에서 을해자(乙亥字)를 써서 판을 만들고 간행하였다. 책의 마지막에 실린 한계희(韓繼禧)강희맹(姜希孟)이 쓴 발문에 따르면, 초고는 세종이 왕세자와 수양대군에게 명하여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를 편성하여 번역하게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당시 탈고하지 못했던 것을 그 뒤 대비의 명으로 고승 학조(學祖)가 교정하여 300질의 활자판으로 만들었다.

서지사항

5권 5책으로 된 『금강경삼가해』는 을해자를 사용해 만든 금속활자본이다. 그러나 『금강경』 본문은 정축자(丁丑字)로 되어 있다.

이 책은 중간된 일이 없고 원간본만 전한다. 권2∼5의 4책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권1 · 5의 2책은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과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 권3 · 4의 2책은 성암고서박물관에 있다. 한글학회는 1961년에 『금강경삼가해』 중 일찍부터 알려진 것으로 가장 완전한 상태인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도서본을 영인하였다. 1981년 영남대학교 출판부에서는 이 도서본과 뒤에 알려진 권1을 합하여 『민족문화자료총서(民族文化資料叢書) 1』로 영인하였다.

구성과 내용

이 책은 총 5권 5책으로 편성되어 있다. 권1의 첫머리에는 함허당 기화의 「금강반야바라밀경서(金剛般若波羅密經序)」가 있다. 이 함허당의 ‘서(序)’는 행의 처음에 한 글자를 낮추어 적고, 구절 끝에는 ㅇ표를 하고 두 줄로 언해를 했다. 이것이 끝나면 행을 바꾸어 이 ‘서’에 대한 ‘설의(說誼, 設疑)’를 두 글자 낮추어 구결을 달았으며, 한문과 이에 대한 언해를 두 줄로 작게 썼다. 종경의 「예장사문종경제송강요서(豫章沙門宗鏡提頌綱要序)」도 같은 체제로 수록되어 있다.

권1의 본문은 첫 행에 권두제인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이 한자(漢字) 대자(大字)로 표기되어 있다. 이어 『금강경』 전반에 걸친 기화(己和, 1376~1431)의 설의가 나오는데, 이 설의의 끝에 ‘야보천선사○착어 송(冶父川禪師 著語 頌)’, ‘예장경선사 제강(豫章鏡禪師 提綱)’, ‘함허당득통 설의(涵虛堂得通 說誼)’라는 저자 사항이 달려 있다. 이어 야보에 대한 기화의 설의를 시작으로 야보의 착어(著語) 와 송(頌), 종경(宗鏡)의 제강(提綱)이 반복해서 나온다.

권1은 「제1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까지이며, 권2는 「제2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부터 「제11 무위복승분(無爲福勝分)」까지로 구성되어 있다. 권3은 「제12 존중정교분(尊重正敎分)」부터 「제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까지이고, 권4는 「제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부터 「제26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까지이다. 권5는 「제27 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부터 제32 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까지를 끝으로, 종경의 「제송강요후서(提頌綱要後序)」가 수록되어 있다. 종제(終題)로 권5가 끝난 뒤, 기화의 「득통결의(得通決議)」가 부록으로 첨부되어 있다. 이어서 성화 18년(1482) 한계희강희맹이 쓴 발문이 나오는데, 이를 통해 『금강경삼가해』의 편찬 및 간행 등에 관한 전후 사실을 알 수 있다.

평가 및 의의

이 책은 각자병서를 쓰지 않았다는 점에서 『남명집언해(南明集諺解)』 · 『두시언해(杜詩諺解)』와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앛(所以 涵虛序 3b · 4b) · ○니(時 권1, 15a) · 수늙(嶺 권 1, 21a) · 자치샤미니라(止 권1, 25b) · ᄒᆞᆫ보로(함부로 · 통틀어 권2, 33a) · 거ᇫ와ᅀᅵ(蕩子 권 4, 22a)’ 등의 독특한 어휘가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책은 국어사적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원전

불교문화연구소,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韓國佛敎撰述文獻總錄)』(동국대학교 출판부, 1976)
심재완, 『금강경삼가해(金剛經三家解)』(영남대학교 출판부, 1981)

단행본

김영배 편, 『역주 금강경삼가해 1』(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6)

논문

안병희, 「중세어(中世語)의 한글자료(資料)에 대한 종합적(綜合的)인 고찰(考察)」(『규장각』 3, 1979)
심재완, 「금강경삼가해(金剛經三家解)의 문헌적연구(文獻的硏究)」(『강복수박사회갑기념논문집』, 형설출판사, 1976)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