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남명집언해
언어·문자
문헌
조선전기 승려 학조가 「영가대사증도가남명천선사계송」을 국역하여 1482년에 간행한 번역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전기 승려 학조가 「영가대사증도가남명천선사계송」을 국역하여 1482년에 간행한 번역서.
서지적 사항

상하 2권 2책. 을해자 주자본(鑄字本).

개설

당나라 현각(玄覺)의 「증도가(證道歌)」 1수와 「선종오수원지(禪宗悟修圓旨)」를 위정(魏靖)이 모아 『영가집(永嘉集)』이라 하였는데, 이것을 송나라 선사 남명천(南明泉)이 구마다 나누어 계송(繼頌)한 것이 「영가대사증도가남명천선사계송」이고 이를 언해한 것이 『남명집언해』이다.

편찬/발간 경위

세종이 직접 『삼가해(三家解)』의 초고를 만들고 「남명계송」 30여수를 번역한 다음 수양대군(뒤의 세조)에게 나머지를 마저 번역할 것을 명하였으나 실행을 보지 못하였다.

1482년(성종 13) 세조의 비 자성대왕대비(慈聖大王大妃)가 이 일을 완성하고자, 학조에게 세종이 30여수를 번역한 「남명계송」을 마저 번역할 것을 명하였다. 마침내 이 일이 이루어져서 500부를 간행하여 널리 유포하게 한 것이 『남명집언해』이다.

내용

이 책의 상권에는 오용(吳庸)의 서문이 언해와 함께 실려 있고, 그뒤 토를 단 칠언사구체의 한문송·정음번역문·정음주해문의 순서로 156수의 노래가 실려 있다. 하권은 164수의 노래를 싣고 이어서 축하하는 내용의 후서(後序)가 언해되어 있으며, 끝에 한계희(韓繼禧)와 강희맹(姜希孟)의 발문이 있다. 이 발문은 『금강경삼가해』의 발문과 똑같다.

이 책은 ‘증도가남명계송’·‘남명계송’·‘증도가계송’·‘증도가’·‘가가천송(嘉歌泉頌)’ 등의 다른 이름이 있으나, 후대에 와서 ‘영가대사증도가남명천선사계송’의 약칭에다가 언해란 말을 붙여 이루어진 ‘남명집언해’가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원간본은 서울대학교 가람문고(嘉藍文庫)와 이겸로(李謙魯)의 소장이며, 권하(卷下)의 영본(零本)은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만송문고(晩松文庫), 그리고 김석하(金錫夏)가 소장하고 있는데, 중간본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문헌의 표기법상의 특징은 한자음이 동국정운식(東國正韻式) 한자음으로 표기된 것이며, ‘ㅆ, ㆅ’ 등의 각자병서(各自並書)는 한자음 표기 외에는 찾아볼 수 없다. ‘ᄠᅳᆷ, ᅀᅠ, ·’가 쓰이고 있으며 ‘ㆆ’은 한자음에만 사용되었다. 따라서 ‘ᄒᆞᇙ시라’ 등은 보이지 않고 ‘ᄒᆞᆯ시라’로 나타난다. 그리고 방점이 사용되었으며 ‘ㅸ’은 보이지 않는다.

삽입자음표기는 ‘ㅅ’으로 통일되어 있다. 종성표기에 ‘ㅈ·ㅊ·ㅌ·ㅍ’이 보이지 않으나 ‘ᄇᆞᇫ아도, ○이리라’처럼 ㅿ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뒤에 오는 음절이 모음으로 시작될 때 ᄠᅳᆷ은 ‘다ᇰ다ᅌᅵ’와 같이 초성에 내려쓴 경우와, ‘버ᇰ으러’와 같이 ‘ᄠᅳᆷ, ㅇ’으로 쓴 두가지 경우가 다 보인다. 이 책은 1972년과 1973년에 『남명천계송언해(南明泉繼頌諺解)』라는 이름으로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상권과 하권을 영인한 바 있다.

참고문헌

『국어표기법의 역사적연구』(이기문, 한국연구원, 1963)
「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인 고찰」(안병희, 『규장각』 3, 서울대학교도서관, 1979)
「남명천계송언해해제」(남풍현, 『영인본 남명천계송언해』 상·하, 단국대학교국어국문학과, 1972·1973)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홍윤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