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궁계적 ()

목차
관련 정보
남궁계적
남궁계적
언어·문자
문헌
관성제군(關聖帝君) 및 문창제군(文昌帝君) 등 중국의 도교 신들을 신봉했던 지방의 한 이사(里社)에서 문창제군과 관련한 도교경전 중 일부인 음즐문(陰隲文)‚ 권효문(勸孝文) 및 영험담(靈驗談)을 모아 1876년에 편집한 책. 언해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관성제군(關聖帝君) 및 문창제군(文昌帝君) 등 중국의 도교 신들을 신봉했던 지방의 한 이사(里社)에서 문창제군과 관련한 도교경전 중 일부인 음즐문(陰隲文)‚ 권효문(勸孝文) 및 영험담(靈驗談)을 모아 1876년에 편집한 책. 언해서.
내용

불분권(不分卷) 1책. 목판본.

간기(刊記)는 없지만 이건창(李建昌)이 쓴 서문에 ‘병자가평절완산이건창경서(丙子嘉平節完山李建昌敬書)’라는 기록이 있어, 간행연도를 알 수 있다. 그러나 편찬자나 언해자가 누구인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건창이 23세 때인 1874년에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갔을 때 문창제군의 화상(畫像)을 가지고 온 것이 계기가 되어 이 서문을 쓰게 되었다. 앞에 문창제군보고(文昌帝君寶誥)와 그 음역(音譯)이 있고, 이어서 이건창의 남궁계적서, 그 뒤에 본문이 있다.

본문은 권효문(勸孝文)·음즐문(陰騭文)·영험기의 순으로 되어 있는데, 한문원문을 전부 앞에 싣고 뒤에 그 언해 부분을 싣고 있다. 남궁계적의 ‘남궁(南宮)’은 문창제군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모두 26장으로 되어 있는 이 언해본 이외에 8장으로 되어 있는 한문본도 전한다.

이 책의 국어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어두의 된소리는 ㅅ계·ㅂ계 합용병서를 쓰고 있으나 ㅾ은 쓰이지 않고 ㅶ이 쓰인다(○고·ᄯᅵ·○·힘ᄡᅥ·ᄧᅡᆨ·두씨·글ᄌᆞ쓴 조희). 어중(語中)의 유기음은 대부분 중철식(重綴式) 표기를 하고 있다(맛ᄎᆞᆷᄂᆡ·빗츠로·갓튼지라·덥푸시고).

종성에 ㄷ을 쓰지 않고 ㅅ을 씀으로써 ㅅ받침을 가진 것은 주로 중철식 표기를 하고 있다(니웃슬·잇셔·붓슬). 어중의 된소리는 별도로 표기하지 않고 있다(볼 다름이오·못ᄒᆞ야더니·버금 아 ᄌᆞ오).

처격조사는 ‘에’를 사용하는 반면, 현대어의 부사형어미 ‘애’는 ‘ᄋᆡ’로 표기하고 있다(뭇으ᄆᆡ·구ᄒᆞᄆᆡ). 말음이 ㄹ인 어간이 ㄷ 앞에서 탈락되는 현상이 보인다(밧 가든 쇼). ‘밭[田]’의 활용형에 ‘밧츨’이 출현한다(복 밧츨). 1986년태학사(太學社)에서 다른 도교 관계자료와 함께 영인하였다. 서울대학교 도서관·국립중앙도서관·영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남궁계적해제(南宮桂籍解題)」(홍윤표, 『영인본남궁계적』, 태학사, 1986)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홍윤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