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희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이조판서, 중추부사, 좌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순(子順)
시호
문정(文靖)
이칭
서원군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23년(세종 5)
사망 연도
1482년(성종 13)
본관
청주(淸州)
주요 관직
공조참판|인순부윤(仁順府尹)|이조판서|중추부사|좌찬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이조판서, 중추부사, 좌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순(子順). 한수(韓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개국공신 한상경(韓尙敬)이고, 아버지는 함길도관찰출척사 한혜(韓惠)이며, 어머니는 성달생(成達生)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41년(세종 23) 진사시에 합격하고, 1447년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 승문원정자에 보임되었다가 곧 집현전정자로 뽑혔다. 이어 부수찬·지제교로서 경연관(經筵官)을 겸하고 부교리에 이르렀다. 세조가 즉위한 뒤로 신임을 두터이 받아서 1455년(세조 1) 우문학으로 세자에게 경학을 가르쳤다.

이듬해 좌필선·집의, 1457년 예문관직제학·지제교 겸 춘추관기주관으로 문한의 직을 역임한 뒤 세자우보덕(世子右輔德)을 겸하였다. 1458년 좌보덕·병조지사(兵曹知事)·참의, 1460년 우승지, 1461년 좌승지·공조참판·중추원부사, 1462년 이조참판으로서 세자우부빈객(世子右副賓客)을 겸하였다.

이듬해 인순부윤(仁順府尹)을 거쳐 1465년 이조판서, 1467년 중추부사가 되었다. 1468년 세조가 병환이 심할 때 약을 조제하는 임무를 맡았고, 죽기 전날에는 세조의 지시로 대보(大寶: 임금의 인장)와 곤면(袞冕: 임금의 정복)을 세자에게 전수하는 일을 주관하였다.

1469년 예종이 즉위하자 남이(南怡)를 제거한 공으로 추충정난익대공신(推忠定難翼戴功臣) 3등에 책록되고, 서원군(西平君)에 봉해졌다. 이듬 해 성종이 즉위해서는 지경연사(知經筵事)를 겸하고, 1471년(성종 2)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佐理功臣) 2등에 책록되었으며, 1478년 좌찬성에 이르렀다.

그의 집안은 조선 초기의 명문 거족으로서 벼슬길에 가문의 배경이 큰 힘이 되었다. 하지만, 세종 때 집현전 장서각(藏書閣)에 상주하다시피 하면서 박람강기(博覽强記)로 쌓은 학식이 큰 바탕이 되었다.

학식과 단정한 성품으로 주위로부터 추앙되어 존중히 여김을 받았으며, 특히 서거정(徐居正)과 교분이 두터웠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참고문헌

『단종실록(端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예종실록(睿宗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사가집(四佳集)』
『대동기문(大東奇聞)』
『해동잡록(海東雜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집필자
이태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