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술환국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사건
1694년(숙종 20) 기사환국으로 집권한 남인이 물러나고, 소론과 노론이 다시 장악한 정국(政局).
이칭
이칭
갑술옥사
정의
1694년(숙종 20) 기사환국으로 집권한 남인이 물러나고, 소론과 노론이 다시 장악한 정국(政局).
개설

‘갑술옥사(甲戌獄事)’ 또는 ‘갑술경화(甲戌更化)’라고도 한다.

경과

1694년에 노론계의 김춘택(金春澤)소론계의 한중혁(韓重赫) 등이 폐비 민씨의 복위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자, 실권을 쥐고 있던 남인계의 민암(閔黯) · 이의징(李義徵) 등이 민씨복위 운동의 주동자들을 심문, 그 사실을 숙종에게 보고하려 하였다. 그러나 폐비 사건을 차츰 후회하게 된 숙종은 오히려 기사환국 당시 국문을 주관한 민암과 판의금부사 유명현(柳命賢) 등을 귀양보냈다. 그리고 훈련대장과 어영대장에 신여철(申汝哲) · 윤지완(尹趾完) 등 소론계 인사를 등용, 정국을 변화시켰다.

그렇게 시작된 주1 도모는 대체로 두 방향에서 추구되었다. 하나는 한중혁의 소론 쪽이 집권 남인측의 막후실력자인 총융사이자, 왕비 장씨의 친오빠인 장희재(張希載)동평군(東平君) 이항(李杭)에게 뇌물을 쓸 것을 계획한 것이다. 그것은 ‘폐비 민씨를 복위시키되 주2에 거처하도록 하게 한다.’는 방침에서 나온 것이었다. 즉, 남인계와 정면으로 맞서기보다는 세력을 잃은 노론과 소론의 진출을 어느 정도 만회하려는 것이 목적이었다.

다른 하나는 남인과 왕비 장씨에 대한 숙종의 편향심을 돌리게 하여 남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확산시키는데 있었다. 그들은 기사환국 이후 새로이 왕의 사랑을 받게 된 숙빈 주3 연결을 가져, 숙종에게 남인계의 잘못된 점을 자세히 알릴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숙종은 민암 등 남인의 보고를 받기 전에 태도를 돌변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숙종은 남인을 물리치고 남구만(南九萬)을 영의정, 박세채(朴世采)를 좌의정, 윤지완을 우의정에 각각 기용, 소론 정권을 성립시키게 되었다.

노론측도 폐비 민씨가 복위된 것을 비롯, 송시열(宋時烈) · 민정중(閔鼎重) · 김익훈(金益勳) · 김수흥(金壽興) · 조사석(趙師錫) · 김수항(金壽恒) 등이 복관되는 등 기사환국 이전의 상태가 되었다. 반면, 남인측은 민암 · 이의징이 사사되고, 권대운(權大運) · 목내선(睦來善) · 김덕원(金德遠) · 민종도(閔宗道) · 이현일(李玄逸) · 장희재 등 다수가 유배되었다. 그리고 왕비 장씨마저도 희빈(嬉嬪)으로 강등되었다. 이 사건으로 세력을 잃은 남인계는 그 뒤 이를 만회하지 못하였다.

의의와 평가

한편 이 사건의 뒤처리 결과, 환국 계획에 중인 · 상인층의 자금이 뇌물수수로 이용된 것이 밝혀져 국왕이나 조정의 큰 논란거리가 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사실은 이미 사회 경제의 변동으로 중앙 정치의 양상이 달라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참고문헌

『숙종실록』
『연려실기술』
『조선후기 당쟁의 종합적 검토』(이성무 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조선후기 사회세력의 동향과 정변-숙종년간의 갑술환국과 중인·상인·무인의 정치참여를 중심으로-」(정석종, 『한국사학』 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3)
「갑술환국과 숙종」(이희환, 『전북사학』 11·12, 1989)
주석
주1

시국 또는 판국이 바뀜. 우리말샘

주2

왕이나 왕세자의 혼례 때 왕비나 세자빈을 맞아들이던 궁전. 우리말샘

주3

영조의 어머니

집필자
이태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