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종도 ()

민종도 글씨
민종도 글씨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예문관대교, 세자시강원문학, 병조참지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여증(汝曾)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33년(인조 11)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
주요 관직
예문관대교|세자시강원문학|병조참지
정의
조선 후기에, 예문관대교, 세자시강원문학, 병조참지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여증(汝曾). 민영(閔韺)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사헌 민응협(閔應協)이고, 아버지는 좌찬성 민점(閔點)이며, 어머니는 판중추부사 김시양(金時讓)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62년(현종 3)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듬해 예문관대교가 되고, 1664년 봉교를 거쳐 1665년 지평·정언 등을 역임하였다. 이듬해 다시 중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할아버지가 이조참판, 큰아버지 민희(閔熙)는 좌의정, 아버지는 좌찬성, 동생 민홍도(閔弘道)는 이조정랑을 각각 지낸 명문이었다. 이러한 전통에 힘입어 헌납·필선·부승지·수찬·부교리 등을 역임하고, 1668년 세자시강원문학이 되었으며, 1674년 병조참지가 되었다.

참고문헌

『현종실록(顯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유영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