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근 ()

불교
인물
고려 후기, 공민왕 대 왕사에 임명되어 불교계를 이끌었던 선승.
이칭
성명
아원혜(牙元惠)
나옹(懶翁), 강월헌(江月軒)
법명
혜근(惠勤), 혜근(彗勤)
봉호
근수본지중흥조풍복국우세 보제존자(勤修本智重興祖風福國祐世普濟尊者))
시호
선각(禪覺)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20년(충숙왕 7)
사망 연도
1376년(우왕 2)
본관
영해부(寧海府)
출생지
영해부(寧海府)
주요 저서
『나옹화상어록(懶翁和尙語錄)』, 『가송(歌頌)』
주요 관직
신광사 주지, 회암사 주지, 송광사 주지, 왕사
관련 사건
공부선, 회암사 중수
내용 요약

혜근(惠勤)은 고려 후기 공민왕 대 왕사를 역임한 선종 승려이다. 사굴산문 출신으로 원나라에 유학하여 대도에서 지공(指空)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강남의 선종사원을 두루 유력하며 오산사찰의 선풍을 경험하며 임제종 승려들에게 선을 배웠다. 인도승 지공과 임제종 승려 평산처림(平山處林)의 법을 이었으며, 귀국하여 공민왕 대 공부선을 주관하고 왕사를 역임했으며, 회암사를 중창하였다.

정의
고려 후기, 공민왕 대 왕사에 임명되어 불교계를 이끌었던 선승.
가계 및 인적 사항

1320년(충숙왕 7) 경상도 영해부(寧海府)에서 태어났다. 속성은 아(牙)씨, 속명은 원혜(元惠), 법명은 혜근, 법호는 나옹 또는 강월헌(江月軒)이다. 아버지 아서구(牙瑞具)의 벼슬은 선관서령(膳官署令)이었고, 어머니는 영산군 사람 정씨(鄭氏)이다. 1376년(우왕 2) 경기도 여주 신륵사에서 입적하였다.

주요 활동

20세 때인 1339년(충숙왕 복위 9) 문경 공덕산(功德山)에 가서 요연선사(了然禪師) 문하에서 출가하였다. 5년 뒤인 1344년(충목왕 즉위년) 경기도 양주 회암사에 머물며 4년간 수행하다 원나라로의 유학을 결심했다. 1347년(충목왕 3) 28세로 유학을 떠나 1358년 귀국할 때까지 원에 머물며 수행했다. 1348년 원나라 대도(大都)에 도착한 혜근은 대도의 법원사(法源寺)에서 지공(指空)을 만나 1350년까지 수학하였다. 1350년 음력 3월 대도를 떠나 뱃길로 중국 강남 지역으로 내려가 1353년 3월 대도 법원사로 돌아갈 때까지 3년간 항주(杭州), 명주(明州), 무주(婺州) 등 중국 강남 지역을 다니며 임제선승을 만나 수행하였다. 정자사(淨慈寺)의 평산처림(平山處林), 아육왕사(阿育王寺)의 설창오광(雪窓悟光), 복룡산(伏龍山)의 천암원장 등을 만났다. 1353년 3월 다시 대도로 돌아와 지공에게서 법의와 불자, 전법게 등을 받았다. 원나라 황제의 명으로 광제선사(廣濟禪寺)에도 주석하고, 무학자초(無學自超)를 제자로 받는 등 대도 지역에서 활동하다 1358년(공민왕 7) 귀국하였다.

1360년(공민왕 9) 오대산에 머물며 환암혼수(幻庵混脩)를 제자로 받아들였고, 공민왕의 지지와 후원으로 불교계에서 활동하였다. 혜근은 공민왕의 명으로 궁궐에서 주12 뒤 해주 신광사(神光寺) 주지가 되었다. 1267년(공민왕 16) 왕명으로 청평사 주지가 되었고, 공민왕비 노국대장공주가 사망하자 천도를 위한 수륙재도 주관하였다. 1370년(공민왕 19) 지공의 사리가 고려에 도착하자 회암사에 지공의 사리를 봉안하는 불사도 담당하였다. 1370년 음력 9월 16~17일 공민왕의 명으로 광명사(廣明寺)에서 개최된 주11의 주맹을 맡았으며, 이듬해 왕사로 책봉되고 송광사 주지에도 임명되었다. 1374년(공민왕 23) 공민왕의 후원을 받으며 회암사 주13를 시작하였으나 1376년(우왕 2) 회암사 주14 이후 사헌부도당(都堂)의 탄핵을 받아 밀양으로 내려가던 중 입적하였다.

학문과 저술

혜근은 10년여의 유학 기간 동안 대도 불교와 강남 불교를 모두 경험했고, 지공과 평산처림의 법통을 계승하여 이중적 법통 인식을 지니게 되었다. 혜근의 스승인 지공은 고려에서 석가모니의 후손으로 주15받았는데, 혜근이 이러한 지공의 법통을 계승한 것은 혜근의 위상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혜근 불교의 특징은 “축도지규방할지풍(祝禱之規棒喝之風)”이라는 문도의 말로 요약된다. '축도지규'는 축성의식(祝聖儀式)을 중심으로 하는 주2의 실천을 말하며, '방할지풍'은 혜근 선풍의 핵심이 주3에 있음을 의미한다. 혜근의 선은 공부선에서 제시한 삼구(三句)와 삼전어(三轉語)에서도 잘 드러난다. 한편, 혜근은 선정일치(禪淨一致)에 입각한 주4를 견지하면서도 화두염불법( 話頭念佛法)을 제창하였다. 제자로는 환암혼수, 무학자초 등 2,000여 명이 있으며, 저서로는 『나옹화상어록(懶翁和尙語錄)』 1권과 『가송(歌頌)』 1권이 전한다.

상훈과 추모

혜근은 입적 후 국사주5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혜근의 주16들은 여러 지역에서 혜근에 대한 추모와 현창을 이어 나가 1384년(우왕 10) 무렵까지 성행하였다. 제자들의 혜근 현창으로 어록 간행뿐만 아니라 여러 곳에 부도와 진당(眞堂)이 조성되었다. 1376년 신륵사에서 주6를 마친 뒤 혜근의 영골 중 일부가 회암사에 마련된 부도에 안장되었고, 우왕은 혜근에게 선각(禪覺)이라는 시호를 하사하였으며, 이색에게 비문을 짓게 하여 1377년 회암사에 비석을 조성하였다. 1379년에는 어록을 간행하고, 혜근의 입적처인 신륵사에는 주7처럼 생긴 부도를 만들어 정골(丁骨) 사리를 봉안하고 진당을 세웠다. 또한 금강산, 치악산, 소백산, 사불산, 용문산, 구룡산, 묘향산 등 일곱 곳에 윤필암(潤筆庵)을 세웠고, 금강산 정양사, 회암사, 신륵사, 오대산, 견암, 위봉사, 광법사, 보현사 등에는 혜근의 가사주8 등을 봉안하였다. 그 밖에 안심사(安心寺)주10을 만들어 혜근의 두골과 사리를 봉안했고, 1388년(우왕 14)에는 원주 영천사(靈泉寺) 석탑에 혜근의 사리를 봉안하였다. 혜근 입적 후 전개된 현창불사는 혜근 문도들의 결속력뿐만 아니라 그들의 위상과 역량도 높여 주었다. 이색 및 이색의 문도와 친교를 나누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조선 전기까지 나옹의 문도들이 불교계를 주도하는 계기가 되었다.

조선 건국 후에는 혜근의 제자인 무학자초가 1393년(태조 2) 광명사에 혜근의 진영을 봉안했고, 이듬해에는 회암사를 중심으로 혜근을 추숭하며 임제선법이 혜근을 거쳐 자신에게 계승되었음을 정리한 조파도(祖派圖)를 만들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조원통록촬요(祖源通錄撮要)』에서처럼 혜근을 석가의 후신이라 하며 주9의 차원에서 숭배하는 모습도 보인다. 17세기에는 조선 후기 불교를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허균(許筠)이 나옹을 주류에 둔 나옹법통설(懶翁法統說)을 제시하기도 했다. 조선 후기 법통설은 결국 태고법통설(太古法統說)을 공식화하며 정리되었으나 지공, 무학과 함께 삼화상(三和尙)이라 불리며 의성 대곡사나 양산 통도사에서 보듯 그림으로 그려져 전각에 봉안되기도 했다. 또한 불교 의례에서 증명삼화상(證明三和尙)으로 추숭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동사열전(東師列傳)』
『나옹화상어록(懶翁和尙語錄)』
『목은집(牧隱集)』
『동문선(東文選)』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조선총독부, 1919)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이능화, 신문관, 1918)

단행본

허흥식, 『고려로 옮긴 인도의 등불』(일조각, 1997)
김효탄, 『高麗末 懶翁의 禪思想硏究』(민족사, 1999)
조명제, 『고려후기 간화선 연구』(혜안, 2004)

논문

강호선, 『高麗末 懶翁慧勤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남동신, 「여말선초기 懶翁 현창 운동」(『한국사연구』 139, 한국사연구회, 2007)
이철헌, 『懶翁 慧勤의 硏究』(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정영식, 「懶翁惠勤의 강남유학에서의 행적과 그 영향」(『선학』 37, 한국선학회, 2014)
황인규, 「懶翁慧勤의 불교계 行蹟과 遺物ㆍ遺蹟 - 諸 紀錄 및 자료의 검토 試攷 -」(『대각사상』 11, 대각사상연구원, 2008)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2

승당(僧堂)이나 선원(禪院)에서, 좌선하는 도량에서 지켜야 할 기거동작 따위에 대한 규칙. 청정(淸淨)한 규칙이라는 뜻이다. 우리말샘

주3

임제종에서 하는 선법(禪法). 우리말샘

주4

마음 밖에는 딴 세상이 없으므로 극락은 결국 자기의 마음속에 있는 경지임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높이 받들어 존경함. 우리말샘

주6

불에 태운다는 뜻으로, 시체를 화장(火葬)하는 일을 이르는 말. 육신을 원래 이루어진 곳으로 돌려보낸다는 의미가 있다. 우리말샘

주7

이름난 승려의 사리를 넣어 두기 위하여 종 모양으로 만든 부도(浮屠). 인도에서 전해진 것으로, 고려 시대에 매우 발달하였다. 우리말샘

주8

절에서 쓰는 승려의 공양 그릇. 나무나 놋쇠 따위로 대접처럼 만들어 안팎에 칠을 한다. 우리말샘

주9

살아 있는 부처라는 뜻으로, 덕행이 높은 승려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0

이름난 승려의 사리를 넣어 두기 위하여 종 모양으로 만든 부도(浮屠). 인도에서 전해진 것으로, 고려 시대에 매우 발달하였다. 우리말샘

주11

고려ㆍ조선 시대에, 승려에게 법계를 주기 위하여 보이던 과거(科擧). 고려 광종 4년(953)에 교종선(敎宗選)과 선종선(禪宗選)의 두 과를 두어 합격자에게 대선(大選)이라는 초급 법계를 주었는데, 조선 중종 때 없앴다가 명종 초에 다시 두었다. 우리말샘

주12

불교의 교의를 풀어 밝히다. 우리말샘

주13

건축물 따위의 낡고 헌 것을 손질하며 고침. 우리말샘

주14

건축물의 완공을 축하하는 의식. 우리말샘

주15

높이 받들어 숭배함. 우리말샘

주16

이름난 학자 밑에서 배우는 제자.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