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

자연지리
지명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와 평창군 · 홍천군에 걸쳐 있는 산이다.
지명/자연지명
높이
1,565.4m
소재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홍천군, 강릉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오대산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홍천군·강릉시에 걸쳐 있는 산이다. 흙산과 돌산이 모두 존재하여 독특한 생태 환경을 이루며, 소금강 계곡은 뛰어난 지형 경관을 자랑한다. 우리나라 불교 신앙의 성지이며, 많은 문화재들이 존재한다.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와 평창군 · 홍천군에 걸쳐 있는 산이다.
개설

오대산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 홍천군 · 강릉시에 걸쳐 있는 산이다. 한반도의 척량 주1태백산맥의 중간에 위치하여 생태적 가치가 매우 높으며, 흙산과 돌산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곳이다. 우리나라 불교계에서는 오대산을 1만 문수보살이 상주하며 부처의 정골 사리를 모신 곳이라 하여 성지로 여긴다.

명칭 유래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주봉인 비로봉을 중심으로 동대산 · 두로봉 · 상왕봉 · 호령봉 등이 고리처럼 벌려 섰고, 크기가 고르기 때문에 오대산이라 하였다고 한다. 또는 오대산의 가운데에 있는 중대(中臺)를 비롯하여 북대 · 남대 · 동대 · 서대가 오목하게 원을 그리고 있고, 산세가 다섯 개의 연꽃잎에 싸인 연심(蓮心)과 같다 하여 이 명칭이 붙여졌다는 설도 있다.

자연환경

오대산의 서부와 북서부 일대는 선캄브리아기의 퇴적암 기원 주2인 혼성 편마암이 분포한다. 이 지역에는 비로봉(毘盧峯, 1,565.4m)을 중심으로 호령봉(虎嶺峰) · 상왕봉(象王峰) · 두로봉(頭老峰) · 동대산(東臺山) 등의 고봉들이 솟아 있다. 이들은 지리산과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흙산으로, 주요 산정부가 대부분 평정봉을 이루며, 봉우리와 봉우리가 이어지는 능선 또한 완만하거나 평탄한 특성을 가진다. 반면, 진고개정상휴게소 동쪽의 황병산을 중심으로 노인봉 · 매봉을 아우르는 소위 소금강산이라 부르는 곳은 중생대의 흑운모 화강암이 넓게 분포하여, 전형적인 돌산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오대산 남쪽 사면으로 흐르는 하천에는 오대천이 있다. 비로봉과 동대산 사이의 오대천은 황병산과 동대산 사이의 병내천과 월정천 등과 합해진다. 황병산 남쪽 사면에서는 송천이 남쪽으로 흐르다가 도암호를 형성하며 이후 심한 곡류로 이어진다. 오대천은 정선군 북평면 나전리에서, 송천은 정선군 여량면 아우라지에서 각각 골지천과 합류된다. 동대산과 노인봉 사이의 진고개는 병내천과 연곡천(連谷川)의 분수령을 이룬다. 연곡천을 따라 6번 국도가 개설되어 있으며 연곡천은 강릉시 연곡면에서 동해로 유입된다. 연곡천의 제1지류인 장천동천은 노인봉 동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촛대봉, 적은봉 등을 끼고 흐른다. 장천동천은 협곡과 기암 주3이 많아서 작은 금강, 즉 소금강 계곡이라고 불린다. 이곳은 1970년에 이미 명승 제1호로 지정될 만큼 뛰어난 경관을 자랑한다.

오대산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림 지대로 생물상이 다양하고 풍부하다. 이곳에 서식하고 있는 포유류는 두더지, 너구리 등 총 5목 11과 19종이다. 조류는 박새, 노랑턱멧새 등을 포함하여 67종이 확인되었고, 양서류는 총 12종이, 파충류는 8종이 기록되었다. 곤충은 총 19목 199과 1,788종이 확인되었다. 또한 멸종 위기 야생 생물 Ⅱ급 담비 및 삵 서식지 특별 보호 구역으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2014년에는 멸종 위기종인 '작은관코박쥐'가 서식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오대산의 생태계가 매우 건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식물로는 전나무 · 분비나무 · 신갈나무 · 자작나무를 비롯하여 총 1,040종이 오대산에 서식하고 있다. 비로봉 일대의 측백나무 · 주목나무 군락, 호령봉 계곡의 난티나무 군락, 두로봉과 상왕봉 능선의 철쭉 · 금강초롱 등이 유명하다. 특히 월정사로부터 상원사(上院寺) 적멸보궁(寂滅寶宮)을 잇는 10㎞의 계곡에는 수령 500년의 전나무와 고산 식물, 잡목이 우거진 숲이 수려하고 웅장한 풍경을 자랑한다. 또한, 신갈나무 군락과 소나무 군락 및 가래나무-다래 군락이 광범위하게 분포하여 오대산의 대표적인 식생을 이루며, 지하수위가 높은 하천 주변에는 황철나무가 단일목의 형태로 분포하고 있다. 오대산 습지는 2008년 10월, 람사르 습지로 지정될 만큼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현황

오대산은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잘 보존된 생태계로 유명한 곳일 뿐만 아니라, 신라시대의 자장율사가 수도하고 1만 문수보살이 상주하며 부처의 정골 사리를 모신 불교의 성지이기도 하다. 그래서 월정사와 상원사와 같은 유서 깊은 사찰과 암자 그리고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국보, 1962년 지정) · 월정사 석조보살 좌상(보물, 1963년 지정), 상원사 동종(국보, 1962년 지정) 등 국가유산이 곳곳에 있다.

오대산은 택리지에서도 언급되었는데, 임진왜란 이후 사고(史庫)가 있었던 곳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일본에 의해 오대산 사고본은 일본으로 강제 반출되었고, 건물은 6·25전쟁으로 소각되었다. 1963년 오대산 사고의 터가 사적으로 지정된 후 1992년에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에서 복원되었다.

오대산은 영동고속도로와 인접해 있어 교통이 편리해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1975년 2월 우리나라의 11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오늘에 이른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병문, 『관광지리학』 (형설출판사, 1978)
김정배 외, 『관광자원론』 (형설출판사, 1982)
김홍운, 『관광한국지리』 (형설출판사, 1985)
『오대산 및 소금강종합학술예비조사보고서』 (문화공보부, 1971)
『한국관광자원총람』 (한국관광공사, 1985)
『한국지명유래집-중부편』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08)
『(제5차)전국자연환경조사 : 식생, 강릉·평창』 3 (환경부, 2021)

인터넷 자료

오대산국립공원(odae.knps.or.kr)
주석
주1

여러 산맥의 원줄기가 되는 큰 산맥. 우리나라의 태백산맥 따위가 이에 속한다. 우리말샘

주2

수성암 또는 화성암이 땅 밑 깊은 곳에서 온도, 압력 따위의 영향이나 화학적 작용을 받아 변질하여 이루어진 암석. 우리말샘

주3

모양이 독특하고 이상한 바위와 가파른 낭떠러지.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