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산 ()

자연지리
지명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북면과 북평면에 걸쳐 있는 산.
지명/자연지명
높이
1,421.7m
소재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북면과 북평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상원산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북면과 북평면에 걸쳐 있는 산이다. 해발 고도 1,421.7m이다. 평안누층군의 쇄설성 퇴적암으로 이루어진 상원산의 산세는 대체로 급경사를 이루지만, 정상부의 능선은 대체로 완만하다. 산림 생물 다양성이 매우 높은 자연 생태계의 보고이며, 북평 9경 중의 하나이다.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북면과 북평면에 걸쳐 있는 산.
명칭 유래

주변방의 산 중에서 으뜸이 되는 큰 산이라 하여 상원산이라 불린다.

자연환경

상원산의 높이는 1,421.7m이며, 북쪽의 황병산(黃炳山, 1408.1m)두타산(1391.4m)을 거쳐 상원산에 이르는 황병지맥에 위치한다. 상원산의 북쪽에 두루봉(1,226m), 서쪽에 갈미봉(葛味峰, 주1, 남쪽에 백석봉(白石峰, 주2 · 옥갑산봉(玉甲山峰, 1,285m), 북동쪽에 오장산(736m)과 노추산(魯鄒山, 1,322m) 등이 솟아 있으며, 산세는 험한 편으로 서쪽 사면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급경사를 이루지만, 정상부는 비교적 완만한 능선을 이룬다. 정상에서는 북쪽으로 오대산, 그 오른쪽으로 백두대간의 장엄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동쪽으로는 노추산이 솟아 있으며, 그 너머로 동해까지 조망할 수 있다. 남쪽으로는 옥갑산봉과 가리왕산이 보인다. 지질은 대부분 얕은 바다와 충적 주3에서 쌓인 쇄설성 주4으로 이루어진 평안 주5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의 두루봉과의 사이에 불당 계곡이 있으며, 이 계류가 상원산과 동쪽의 고비덕(1019.5m)과 왕재산(998.4m) 사이를 흐르는 송천(松川)으로 유입된다. 송천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의 황병산(黃柄山) 부근에서 발원하여 횡계리를 지나 남쪽으로 흐르는 하천으로 상원산 남쪽 사면을 따라 흐르는 한강 최상류 하천인 골지천과 아우라지에서 만난다. 아우라지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호(현, 강원특별자치도 무형문화유산)인 정선아리랑의 대표적인 발생지 중 한 곳으로 유명하다. 남서쪽의 백석봉과의 사이에는 항골 계곡이 있으며 이 계류는 나전리에서 골지천에 합류한다.

정선군은 2016년 1,089종의 동 · 식물상이 있는 자연 생태계의 보고인 상원산 일대를 강원특별자치도 도립공원으로 신청을 하기도 했으며, 정상부 일원은 산림 생물 다양성 보전의 핵심 공간인 산림 유전자원 보호 주6으로 지정되어 있다.

현황

상원산 동쪽 사면에 위치한 구절리는 정선 탄전에 속하는 무연탄 탄광을 중심으로 발달된 탄광 취락이었다. 그리고 석탄 수송을 목적으로 부설된 증산에서 구절간의 정선선(旌善線)의 기점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 탄광들이 속속 폐광을 한 뒤 탄부들이 빠져나가고, 구절리의 탄광취락도 산뜻한 새집들에 의해 경관이 바뀌었다. 또한 2004년부터 정선선의 열차 운행 구간을 이은 여량역까지 단축되었고, 여량역과 구절리역 사이의 7.2㎞ 구간의 철도는 정선군에 의해 우리나라 최초의 레일바이크라는 레저 스포츠 시설로 활용하고 있다.

한편, 상원산이 있는 북평면에 전쟁이 끝난 후 1960년대 나전 광업소가 들어선 후 1980년대에는 석탄 산업이 호황을 누리면서 북평면의 인구가 8천 명을 넘어섰었다. 그러나 에너지 수요가 석탄에서 석유로 변하고 석탄 산업 합리화안이 구체화되던 1980년대 후반부터 인구가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했고, 나전광업소도 1992년 문을 닫게 됐다. 그 뒤 2007년에는 인구가 2,844명까지 줄면서 2023년 6월 기준 인구수는 2,465명이다.

현재 북평면은 석탄 산업이 아닌 자연과 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관광지로 변화하기에 주력하고 있다. 북평면에서는 상원산을 비롯하여 가리왕산, 난향로원, 상장바위, 항골, 봉화치, 숙암 계곡, 오음봉 풍년소리, 백석봉 등을 북평 9경으로 선정하여 지역의 역사와 자연 경관을 활용한 관광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산나물로 유명한 상원산의 특징을 활용한 상원산 자연 치유 협동조합이 2020년에 설립되어 지역 농산물 및 임산물을 판매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권혁재, 『남기고 싶은 지리 사진들』 (법문사, 2007)
진용선, 『북평9경 구경가세』 (정선군 북평면, 2008)
『한국지명총람』 (한글학회, 1967)
『정선 북평면 지명유래』 (정선군 북평면사무소, 2007)
주석
주1

강원도 정선군에 있는 산. 태백산맥에 속하며, 한강의 지류인 송천이 시작하는 곳이다. 높이는 1,265미터. 우리말샘

주2

강원도 정선군에 있는 산. 높이는 1,170미터. 우리말샘

주3

하천 주변에 모래, 자갈, 진흙 따위가 쌓여 생긴 평야. 우리말샘

주4

기존의 암석이 햇빛이나 물, 생물 따위에 의해 파괴되거나 분해된 후 다시 축적되어 형성된 암석. 사암, 역암, 셰일 또는 기존의 석회암 부스러기 물질 등으로 구성된 석회암이 대표적이다. 우리말샘

주5

고생대 후기에 이루어진 지층. 평양 부근과 태백산 지역이 이에 속하는데, 우리나라 무연탄의 대부분은 이곳에서 공급된다. 우리말샘

주6

산림에 있는 식물의 유전자와 종 또는 산림 생태계의 보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구역.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