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 정양사 ( )

목차
관련 정보
금강 정양사 전경
금강 정양사 전경
불교
유적
북한 강원도 회양군 내금강면 금강산(金剛山) 표훈사(表訓寺) 북쪽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승려 관륵과 강운이 창건한 사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강원도 회양군 내금강면 금강산(金剛山) 표훈사(表訓寺) 북쪽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승려 관륵과 강운이 창건한 사찰.
내용

일제강점기 31본산이 지정된 때에는 유점사(楡岾寺)의 말사였다. 600년(무왕 1)에 백제의 고승 관륵(觀勒)과 강운(降雲)이 창건하였고, 661년(문무왕 1)에 원효(元曉)가 중창하였다. 이 절이 사세(寺勢)를 크게 넓힌 것은 고려 태조의 중창에서 비롯된다.

고려 태조가 이 절에 올라왔을 때 법기보살(法起菩薩)이 현신(現身)하여 석상(石上)에서 방광[放光:빛이 남]을 하였는데, 이 일을 잊지 못하여 빛이 나타났던 바위에 정례(頂禮)하고 절을 중창했다고 한다. 지금에도 법기보살이 현신한 곳을 방광대(放光臺)라고 하고, 태조가 정례한 곳을 배점(拜岾)이라고 한다. 1425년(세종 7) 5월에 교종(敎宗)에 소속시키고 전지(田地) 150결(結)을 주었다.

이 절의 본전은 반야전(般若殿)이며, 표훈사와 마찬가지로 법기보살을 주존불로 모시고 있다. 주존불 아래에는 대장경(大藏經)을 봉안하고 있는데, 언제의 것인지는 자세하지 않다. 그 맞은편에는 대들보가 없는 6각형의 전당(殿堂) 약사전(藥師殿)이 있는데, 벽화는 오도자(吳道子)의 필화(筆畵)를 모사한 것이며, 중앙에 모신 석조약사여래상은 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밖에도 신라 말기 또는 고려 초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삼층석탑과 석등이 있다. 탑은 2중 기단에 3층으로 조성된 전형적인 신라 탑의 양식이며, 석등은 그보다 조금 연대가 떨어지는 양식이다. 이 탑은 탑거리, 신림사(神琳寺)의 탑과 함께 금강삼고탑(金剛三古塔)이라고 불린다. 절 경내의 오른쪽에는 자그마한 누각이 있는데, 헐성루(歇惺樓)라고 한다. 금강산 일만 이천 봉을 한꺼번에 구경할 수 있다고 하며, 금강산에서 가장 유명한 누각이다.

참고문헌

『세종실록』
『유점사본말사지(楡岾寺本末寺誌)』
『한국사찰전서』(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북한의 사찰』(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7)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