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구원기 ()

정상관의 곡구원기 중 권수면
정상관의 곡구원기 중 권수면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정상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상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28년 정상관의 증손 정동범(鄭東範)이 편집·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정동범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10권 5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명 1편, 부 2편, 시(詩) 75수, 권2에 소(疎) 1편, 서(書) 21편, 권3·4에 서(書) 103편, 권5·6에 서(序)·기·발·잡저·설(說) 합 30편, 권7·8에 유사 4편, 권9에 고유문 2편, 제문 13편, 애사 6편, 권10은 부록으로 만사 12수, 뇌문(誄文) 3편, 제문 16편과 행장·묘지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 가운데 「조령용추(鳥嶺龍湫)」는 조령을 넘으면서 폭포와 용추의 웅장한 경관을 노래한 것이며, 「도담(島潭)」 역시 서경시(敍景詩)로 만경의 푸른 물결 위에 몇 점 바위가 떠 있는 경관을 묘사하고 있다.

「영남유생청번암채문강공복관의소(嶺南儒生請樊巖蔡文康公復官擬疏)」는 채제공(蔡濟恭)의 관직 복귀를 청하는 내용이다. 여기에서 정상관은 채제공의 지조·기개·청렴·정직을 말하고, 평소 성격이 강직하여 정적이 많았기 때문에 당시 사학(邪學: 천주교)을 토주(討誅)하는 모임에서 채제공에게 죄를 씌워 모함한 것이 분명하니, 사실을 엄밀히 조사하여 신원(伸寃)해 줄 것을 청원하고 있다.

「금설(琴說)」은 거문고에 대해 헌원씨(軒轅氏)의 궁상(宮商)과 우씨(虞氏)의 의봉(儀鳳) 등 옛 음률과, 백아(伯牙)가 탔던 산수(山水)의 유음(遺音)을 전승하지 못하고 천박한 속인들이 멋대로 변형해 본래의 유조(遺調)가 흐려졌음을 지적하면서, 전통적인 음률의 맥락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이 밖에 「위언(危言)」에서는 성인의 말은 천하에 법도가 되어 백성을 편안하게 하나, 소인의 말은 남을 모함하여 함정에 빠뜨리는 일이 많다는 것과, 말에 대해 항상 조심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신동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