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을 날 수 있는 술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소주는 독하고 약주는 알콜도수가 낮아 변질되기 쉬우므로 고안된 술이다.
조선 초기부터 서울에서 유명하였던 술로 『주방문(酒方文)』·『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치생요람(治生要覽)』·『역주방문(曆酒方文)』·『음식보(飮食譜)』·『산림경제』·『증보산림경제』·『규합총서(閨閤叢書)』·『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등 많은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만드는 법은 『규곤시의방』에서는 누룩가루 두되에 끓인 물 한 병을 식혀 붓고, 하룻밤 재워두었다가 주물러 체에 밭치되, 식힌 물을 더 부어 걸러 찌꺼기는 버리고, 찹쌀 한말을 깨끗이 씻어 지에밥을 쪄 식힌 뒤, 그 누룩물에 섞어 넣었다가 사흘 뒤에 좋은 소주 열네복자를 부어 7일 뒤에 쓴다고 한다.
『규합총서』에서는 희게 도정한 멥쌀 한되나 두되로 범벅을 만들어 차게 식힌 뒤 누룩가루를 섞어 익힌다. 찹쌀 한말로 지에밥을 쪄 차게 식혀 그 술밑에 버무려두었다가 7일 뒤에 좋은 소주 이십복자를 붓는다고 하였다.
김천지방에도 과하주가 유명한데, 이것은 과하천의 물로 만들었기 때문에 과하주라 하는 것으로, 그 빚는 법이 일반 과하주와는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