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관덕정 ( )

목차
관련 정보
제주 관덕정 정면
제주 관덕정 정면
건축
유적
문화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목 관아에 있는 조선전기 제주목사 신숙청이 군사들의 훈련청으로 건립한 누정. 보물.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목 관아에 있는 조선전기 제주목사 신숙청이 군사들의 훈련청으로 건립한 누정. 보물.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관덕정은 1448년(세종 30)은 신숙청이 병사들을 훈련시키기 위해서 지은 건물로, 이중 기단 위에 세운 단층의 팔작지붕이다.

내용

관덕정(觀德亭)은 1448년(세종 30) 목사 신숙청(辛淑晴)이 군사들의 훈련청으로 창건한 제주도의 대표적 건물의 하나로, 1480년(성종 11)에 목사 양찬(梁讚)이 중수한 뒤 여러 차례에 걸쳐 중수되었으며, 1969년에 보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관덕(觀德)’이란 문무의 올바른 정신을 본받기 위해 ‘사자소이관성덕야(射者 所以觀盛德也, 활을 쏘는 것은 높고 훌륭한 덕을 보는 것이다.)’에서 따온 말로, 평소 마음을 바르게 하고 훌륭한 덕을 쌓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누정은 정면 5칸, 측면 4칸의 단층 팔작지붕건물이며, 창호와 벽체를 가설하지 않고 사방이 모두 개방되었다. 장대석을 바른층쌓기한 2중 기단 위에 막돌 초석을 놓고 26개의 두리기둥을 세웠다. 기둥 위는 창방(昌枋)으로 결구하고 창방 아래 인방을 바로 짜올렸다.

공포는 평방(平枋) 없이 기둥 위에 바로 짜올렸는데 쇠서 2개를 둔 이익공식(二翼工式)이며, 기둥 사이에는 화반(花盤: 주심도리 밑 장혀를 받는 초새김한 받침)을 세 개씩 두었는데 이 화반 위에 운공(雲工)을 보[樑] 방향으로 놓아 외일출목도리(外一出目道里)를 직접 받치고 있다.

바닥의 전면 1칸 폭은 마루를 깔지 않고 2중 기단의 바닥으로 하고, 후면 3칸 폭에만 우물마루를 깔았다. 누정 안에는 앞뒤 일렬로 네 개씩 높은 기둥[高柱]을 세워 대들보[大樑]를 걸고 동자주(童子柱: 세로 세운 짧은 받침)를 세워 종보[宗樑]를 받쳤으며, 다시 대공을 놓아 종도리를 받쳤다.

이들 대공들은 도리 밑의 장혀[長舌]와 나란하게 놓인 뜬창방으로 연결되었는데, 이러한 가구 수법은 누정 건축에 흔히 있는 것이다. 건물 내부의 포벽(包壁)에는 건립 당시 그려진 것으로 보이는 7폭의 벽화가 남아 있다.

의의와 평가

제주에 현존하는 건물 가운데에 가장 오래된 건물이자, 제주도의 대표적 누정 건축으로 건축사 연구의 소중한 자료이다. 특히 건물 안쪽 대들보와 그 아래 포벽에 그려진 작자를 알 수 없는 벽화는 당시 그려진 그림으로, 훌륭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인정된다.

참고문헌

『제주도의 문화유산』(제주도문화공보담당관실, 1982)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주남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