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미성 ()

목차
고대사
지명
백제시대의 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백제시대의 성.
내용

관미성은 백제의 수도 한성(漢城)을 지키는 최고의 전략적 요충지였다. 고구려는 남하정책을 펴던 가운데 391년(광개토왕 1) 7월에 석현(石峴) 등 10성을 빼앗았고 이어 10월에는 광개토왕이 몸소 군사를 7도(道)로 나누어 20일을 공격한 끝에 함락시켰다.

이에 대해 방어망에 위협을 느낀 백제도 곧 반격을 시도하여 393년(아신왕 2) 8월에 백제장군 진무(眞武)가 1만의 군사를 거느리고 관미성의 탈환 작전을 시도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광개토왕비문에 396년(영락 6)에 광개토왕이 정복한 백제 58성 중의 하나로 기록된 각미성(閣彌城)은 관미성과 동일한 성이다.

관미성의 형세를 《삼국사기》에서는 사면이 가파르고 바다물로 둘러싸여 있다고 하였는 바, 이에 따라 관미성의 위치를 강화군 교동도(橋洞島)에 비정하는 설, 임진강과 한강의 하류인 조강에 위치한 오두산성(鰲頭山城)에 비정하는 설, 또는 예성강 하구에 비정하는 설 등이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광개토왕비문」
『광개토왕릉비』(박시형,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광개토왕릉비」(노태돈, 『역주한국고대금석문』 1, 한국고대사회연구소편, 1992)
「광개토왕의 웅략」(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광개토대왕의 남하정복지에 대한 일고-관미성의 위치를 중심으로-」(김윤우. 『용암차문섭교수화갑기념사학논총』, 1989)
「관미성위치고」(윤일영, 『북악사론』 2, 199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