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서수서 ()

목차
관련 정보
관서수서
관서수서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우리나라 역사 · 제도 · 인물 및 기타 잡사(雜事)에 관한 기록을 모아 엮은 종합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우리나라 역사 · 제도 · 인물 및 기타 잡사(雜事)에 관한 기록을 모아 엮은 종합서.
내용

1권 1책. 필사본. 권수제는 ‘동사휘설(東事彙說)’로 되어 있다. 내용은 무기(武技)·의복제도·경서(經書)의 구결·천후(天候)·훈병(訓兵)·병기·병제·지계(地界)·품대(品帶)·관제·모곡(耗穀)·녹수(錄囚)·사모(紗帽)·목화(木靴)·장복(章服)·패검(佩劍)·측우기·분야(分野)·위서(緯書)·두곡(斗斛)·녹제(祿制)·병정(兵政)·환자(還上)·불법(佛法)·대학·상복(喪服)·국사(國史)·전제(田制)·과거·고려관제·변방·필법·책명·국도(國都)·사직단·명산·대천(大川)·장등(張燈)·유망(儒望)·경영(京營)·군총(軍摠)·정주학·풍수가 및 우리 나라 선인들의 고사나 일화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편찬시기는 알 수 없으나, 이 책을 엮는 데 참고한 책들로서 『현륭원지(顯隆園誌)』·『유재집(游齋集)』·『태허정경서구결발(太虛亭經書口訣跋)』·『상촌집(象村集)』·『일득록(日得錄)』·『임자록(壬子錄)』·『무예도보(武藝圖譜)』·『국포집(菊圃集)』·『건릉행장(健陵行狀)』·『지봉유설(芝峯類說)』·『동주독사수필(東州讀史隨筆)』·『동사(東史)』·『잡기(雜記)』·『여지승람(輿地勝覽)』 및 기타 행장 등이 열거되어 있다.

그리고 내용 중에 안정복(安鼎福)의 말을 인용한 것과 정조 때의 군제가 기록된 것으로 미루어보아 정조대 이후의 저작으로 추정된다. 이 책은 같은 종류의 글이 여기저기 앞뒤에 흩어져 있고, 또 썼다가 지우고 고쳐 쓴 곳도 있는 점으로 보아 초고본임을 알 수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현륭원지(顯隆園誌)』
『유재집(游齋集)』
『태허정경서구결발(太虛亭經書口訣跋)』
『상촌집(象村集)』
『일득록(日得錄)』
『임자록(壬子錄)』
『무예도보(武藝圖譜)』
『국포집(菊圃集)』
『건릉행장(健陵行狀)』
『지봉유설(芝峯類說)』
『동주독사수필(東州讀史隨筆)』
『동사(東史)』
『잡기(雜記)』
『여지승람(輿地勝覽)』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