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명산 광통보제선사 ( )

목차
관련 정보
개풍 광통보제선사비 정측면
개풍 광통보제선사비 정측면
불교
유적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봉명산(鳳鳴山)에 있었던 고려시대 공민왕의 비 노국공주의 명복을 빌던 사찰.
이칭
이칭
광암사(光巖寺), 운암사(雲巖寺)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봉명산(鳳鳴山)에 있었던 고려시대 공민왕의 비 노국공주의 명복을 빌던 사찰.
내용

고려 공민왕의 능인 현릉(玄陵)의 원찰로도 유명하다.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나 원래 시흥종(始興宗)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광암사(光巖寺) 또는 운암사(雲巖寺)로 불리었다.

공민왕 때 시흥종과 조계종(曹溪宗) 사이에 소유권 문제를 둘러싸고 분규가 일어나자 공민왕은 조계종의 천화사(天和寺)를 시흥종에 예속시키고, 시흥종이었던 이 절을 조계종에 예속시킨 다음 ‘광통보제선사’라는 사액을 내렸다.

1372년(공민왕 21) 왕명으로 중수를 시작하여 1377년(우왕 3) 준공하였는데, 공사의 감독은 척산군(陟山君) 박원경(朴元鏡)과 밀양군(密陽君) 박성량(朴成亮)이 맡았다.

당시의 당우로는 미륵전·관음전·해장당(海藏堂)·선실(禪室)·승요(僧寮)·선실(膳室)·객실·종고루(鐘鼓樓)·창고·욕실 등 100여 동이 있었다.

그리고 단청은 물론 범패(梵唄)에 필요한 악기와 연등에 사용될 도구 등을 모두 갖추고 있었다고 한다. 1374년 현릉을 이곳에 모신 뒤부터 공민왕의 명복을 비는 원찰이 되었고, 1378년 이색(李穡)이 지은 광통보제선사비명을 건립하였다. 그러나 그 뒤의 역사는 전래되지 않는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상(上)(조선총독부, 191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