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논곡리 삼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구례 논곡리 삼층석탑 좌측면
구례 논곡리 삼층석탑 좌측면
건축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에 있는 고려시대 화강암으로 건조된 3층 불탑. 석탑. 보물.
목차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에 있는 고려시대 화강암으로 건조된 3층 불탑. 석탑. 보물.
내용

높이 3.5m.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석탑은 현재 논곡리 마을 뒤쪽의 산중턱에 있다. 이곳은 이전에 절이 있던 곳으로, 현재 절터에는 돌로 만든 불상과 사자상 등이 함께 남아 있다. 석탑은 원래의 위치에 있으므로, 지금의 모습이 원형 그대로일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석탑의 아래 부분은 흙에 묻혀 있어, 1층 받침돌만 땅 위에 드러나 있다. 받침돌의 면석은 4장의 널돌로 구성되었는데, 좌우에 모서리 기둥은 표시되었지만 가운데 기둥은 없다. 덮개돌은 1장의 널돌로 덮었는데, 밑면은 쇠시리인 부연(副椽)이 없이 수평이며, 경사를 이룬 윗면에는 연꽃무늬를 새긴 대가 마련되어 있다. 연화대(蓮花臺)에는 12장의 연꽃잎이 아래로 향한 복련(覆蓮)이 조각되었는데, 그 크기가 커서 네 귀에는 1장의 꽃잎을 새겼고, 각 변에는 2장의 꽃잎을 넓게 배치하였다. 꽃잎의 끝부분인 판단(瓣端)은 위로 들렸고, 꽃잎 가운데 부분에는 양쪽에서 안으로 내밀린 화판(花瓣)이 있으며, 또다른 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연화대 위에는 각지고 낮은 1단의 굄이 새겨져 몸돌을 받치고 있다. 이처럼 몸돌을 받치는 굄대를 화사하게 조성한 수법은 고려시대 석탑에서 몇 가지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고려시대에 유행하였던 특이한 양식으로 보인다.

탑신부(塔身部)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졌다. 각 층의 몸돌에는 좌우에 모서리 기둥이 가지런하게 조각되었고, 각 층의 높이는 점차 체감되었다. 지붕돌은 비교적 두꺼운 편으로, 밑면 받침이 모두 4단이다. 윗면인 낙수면의 경사는 윗부분이 급하지만 아랫부분은 완만하여 평박(平薄)하며, 네 귀퉁이의 전각(轉角)에서 나타난 반전과 잘 어울려서 전체적으로 경쾌한 인상을 주고 있다. 지붕돌 위에는 각지고 낮은 1단의 굄이 새겨져 있어, 그 위의 몸돌을 받치고 있다. 이처럼 지붕돌 윗부분의 경사가 급하고 윗면의 굄이 1단으로 약화된 것은 고려시대 양식이다.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는 모두 없어지고 노반(露盤)만 남아 있는데, 3층 지붕돌의 윗면에 조성되었다.

이 석탑은 각 부분이 대체적으로 가지런한 편이다. 특히 받침돌의 면석에 가운데 기둥이 조각되지 않고, 덮개돌에 부연이 없으며, 연꽃무늬의 굄대가 마련된 것으로 보아, 건립 시기는 고려 중기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전라남도의 석탑』(천득염·김준오,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5)
『전라남도의 석탑』 1~3(문화재연구소, 2005·2006)
『求禮郡誌』(구례군지편찬위원회, 2005)
『한국의 탐구』한국의 석조미술(정영호, 서울대출판부, 1998)
『한국미술전집』6 석탑(황수영 편, 동화출판공사, 1974)
『한국 탑파의 연구』(고유섭, 을유문화사, 1954)
「구례논곡리의 석조유물」(진홍섭,『고고미술』25, 1962)
집필자
정영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