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하곡동 석조 여래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군위 하곡리 석조여래입상 상부 정면
군위 하곡리 석조여래입상 상부 정면
조각
유물
국가유산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하곡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군위하곡리석조여래입상(軍威下谷里石造如來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9년 01월 25일 지정)
소재지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하곡리 산 32-10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하곡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내용

높이 190㎝. 1979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하곡동 마을 입구에서 지보사(持寶寺) 쪽으로 약 0.5㎞ 들어가면 길 왼쪽으로 속칭 ‘갈음마을’이 나오고 그 마을 뒷산에 불상과 삼층석탑이 있다. 현재 불상은 단칸 맞배지붕의 조그마한 전각 안에 모셔져 있으며 무릎 아래는 매몰되어 있어서 그 이하의 상태는 알 수 없다.

머리는 나발(螺髮 : 부처의 머리카락. 소라 껍데기처럼 틀어 말린 모양)이고 높고 큼직한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솟아 있다. 상호(相好 :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는 신체에 비해 크고 둥글어서 원만한 모습이다.

눈 · 코 · 입은 마모가 심하고 귀도 파손되어서 보기가 흉하다. 양어깨에 귓불의 흔적이 남아 있어서 귀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이런 귓불의 흔적은 영주석교리석불입상에서도 볼 수 있다. 주로 금동불에서 볼 수 있는 수법이다.

목에는 삼도(三道)의 표현이 뚜렷하다. 양손 모두 끝 부분이 파손되었으나 현 상태만으로도 시무외인(施無畏印 : 팔을 들고 다섯 손가락을 펴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여 물건을 주는 시늉의 손 모양) · 여원인(與願印 : 오른손의 다섯 손가락을 펴서 밖으로 향하여 드리운 모양)을 결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불신은 꼿꼿하고 당당한 자세로 서 있으며,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비교적 두껍게 표현되었다. 하지만 그 안에는 양감 있는 신체의 곡선이 잘 나타나 있다.

법의는 우견 편단(右肩偏袒 : 오른쪽 어깨가 드러남)으로 볼 수 있다. 대의(大衣 : 설법을 하거나 걸식을 할 때 입는 중의 옷) 위로 양어깨를 감싸는 옷을 하나 더 입었으며, 왼쪽 어깨에는 장식적인 띠 매듭이 내려져 있다.

불상에 가사 끈의 띠 매듭이 표현된 예는 경주 남산의 냉곡(冷谷)석불좌상이나 용장사지삼륜대좌(茸長寺址三輪臺座)석불좌상 등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고려시대 이후로도 꾸준히 그 예를 찾을 수 있지만 일반적인 모습은 아니다. 크게 열린 가슴에는 내의 깃이 굵은 사선으로 표현되었다.

옷주름은 두꺼운 음각선으로 깊게 새겼다. 복부까지는 U자형으로 내려오다가 두 다리에서 양쪽으로 갈라졌다. 그 아래로는 동심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양다리 사이의 주름은 지그재그형으로 표현했다.

이러한 표현은 일본 나가사키(長崎) 해신신사(海神神社) 소장 금동불입상이나, 나라(奈良) 광명사(光明寺) 소장 금동석가불입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동불입상 등에서도 잘 볼 수 있다. 그래서 이 불상의 세부 표현에는 8세기의 통일신라 금동불상의 영향이 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장대한 신체 표현과 불상 비례에 있어서 불두(佛頭)와 양손이 커지는 모습 등은 예천동본동석불입상같은 신라 말기의 불상들과 많이 닮아 있다. 그래서 이 불상은 8세기 금동불의 영향을 많이 받은 통일신라 후기의 석불상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양식이 좀더 진전되면 경상북도 봉화 천성사(千聖寺)석불입상과 같은 모습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경주남산불상실측조사연구』(문명대, 한국미술사연구소, 1989)
『국보』 4 -석불-(황수영 편, 예경산업사,1989)
『金銅佛』-中國·朝鮮·日本-(東京國立博物館,198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