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상 높이 89㎝, 광배 높이 120㎝. 1988년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사방 4m 내외의 바위 남면에 조각된 불상이며, 바위의 좌측 상단을 감실(龕室 : 궁전 안의 옥좌 위나 불좌 위에 만들어 다는 집 모형) 형태로 다듬어서 불상을 조각하였다.
얼굴은는 훼손이 심하다. 그리고 왼쪽 어깨와 몸에서 나오는 빛을 표현한 광배(光背)에도 보수한 흔적이 있다. 머리부터 무릎까지 불신의 조각은 높은 부조(高浮彫)이나 연화대좌는 낮은 부조(低浮彫)로 처리하였다. 불상의 머리카락은 소라모양의나발(螺髮)이고 정수리에 솟아 있는 육계(肉髻)는 분명하지 않다.
얼굴은 신체에 비해 좀 작게 표현되었다. 그리고 눈 · 코 · 입도 훼손이 심해 잘 알 수 없지만 작게 표현된 듯하다. 귀는 얼굴의 길이와 거의 같고 미간에는 백호(白毫 : 부처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가는 터럭)의 흔적이 희미하다. 어깨는 당당하게 벌어졌고 목은 짧지만 삼도(三道)의 표현은 뚜렷하다.
오른손은 가슴 위로 들어 올려 시무외인(施無畏印)의 손 모양을 하고 있는데, 두려움을 없애준다는 의미이다. 가운뎃손가락만 기형적으로 구부리고 있으며, 왼손은 배 앞에서 손바닥을 안으로 하고 있다.
가부좌를 튼 하체는 상체에 비해서 안정감을 주지만 표현이 사실적이지 못하다. 양어깨를 감싼 통견(通肩)의 대의는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의 옷주름을 나타내고 있다. 긴장감은 없어지고 도식적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넓게 파진 가슴에는 내의가 표현되었고 그 아래로 띠 매듭이 보인다. 대좌는 가운데에 가로줄을 두고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과 복련(覆蓮 : 아래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을 새겼다. 그리고 앙련의 연꽃잎 안에는 각각 꽃무늬를 조각하였다.
광배는 주형 거신광배(舟形擧身光背)인데 두광(頭光)은 상단만 융기선으로 구분하여 안쪽에 연꽃무늬를 돌렸다. 하지만 신광(身光)은 따로 구분하지 않았다. 광배 전면에는 가득 차게 덩굴무늬를 조각했다. 그 문양이 도안화되기는 했지만 화려해서 이 불상의 장식성을 더하여 주고 있다.
이 불상처럼 얼굴이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하체의 폭이 넓어져서 안정감을 이루는 자세는 9세기에 조성된 경상북도 예천의 한천사(寒天寺) 철조비로자나불좌상과 비교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조각이 평면적이고 광배나 대좌의 문양은 도식화되었으며 대의 주름도 경직된 점 등으로 미루어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