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덕수 ()

포헌문집
포헌문집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몽구』, 『포헌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윤재(潤哉)
포헌(逋軒)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72년(현종 13)
사망 연도
1759년(영조 35)
본관
안동(安東)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몽구』, 『포헌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윤재(潤哉), 호는 포헌(逋軒). 아버지는 권진원(權震元)이며, 어머니는 예안김씨로 김종발(金宗渤)의 딸이다. 열여섯 살에 권두인(權斗寅)의 문하에서 글을 배웠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90년(숙종 16) 향시에 합격하고, 동당시(東堂試)에 응시하려 했는데 족형 구소(鳩巢) 권성구(權聖矩)가 시관(試官)이었으므로 피혐(避嫌)하여 단념하고 말았다.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향중에 격문을 돌려 의병을 일으켰고, 포로가 된 도적이 횡설수설하는 바람에 무함(誣陷)을 입었으나, 영조가 애매한 줄을 알고 관찰사 박문수(朴文秀)에게 타일러 무사하게 하였다. 1757년에 수직(壽職: 80세 이상 노인에게 주던 명예직)으로 통정대부중추부사에 제수되었다.

초년에 제자백가를 두루 섭렵하여 천문 · 지리 · 수학까지도 매우 조예가 깊었으나, 중년 이후로는 오로지 주자학에 전념하였고, 특히 『중용』과 『대학』을 평생의 지침서로 삼았다. 저서로는 『몽구(蒙求)』와 주15권이 있다.

참고문헌

『포헌집(逋軒集)』
주석
주1

권덕수 저술 : 『포헌집(逋軒集)』(한국문집총간)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