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필사본. 이현일(李玄逸)의 서문에 의하여 손자 태중(台重)이 편집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74수, 권2·3에 서(書) 37편, 제문 9편, 묘지 3편, 권4에 부록으로 김학배(金學培)·허목(許穆)이 쓴 행장 2편과 묘지명, 이재(李栽)의 유허비음기(遺墟碑陰記)가 실려있고 만사·제문·분황문(焚黃文)·경절사봉안문(景節祠奉安文)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 중 김학배의 문목에는 당시 사대부 가정에서 가장 중요시하고, 따라서 말썽도 많았던 상례와 가례에 관한 것이 가장 많고, 김응조(金應祖)와 왕복한 서신은 임고서원(臨皐書院)의 봉향문제에 관한 일을 거론하고 있다.
제문의 「제종질겸가문(祭從姪謙可文)」은 12면에 달하는 장문으로 중국 한유(韓愈)의 「제십이랑문(祭十二郎文)」에 견줄 만한 작품이다. 사연의 애절함과 간절한 정곡은 일품이라 할 만하다.
부록의 분황문은 1734년(영조 10) 조현명(趙顯命)이 경연(經筵)에서 “김시온이 병자호란 이후로 숭정처사(崇禎處士)라 호를 하고 은둔생활을 하였다.”고 하자 영조가 이를 가상히 여겨 사헌부집의를 내리자, 저자의 무덤에 이 사실을 고유(告由)한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