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남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박규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박규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927년 그의 조카 승언(勝彦)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상익(權相翊)의 서문과 박승진(朴勝振)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17수, 권2에 서(書) 18편, 서(序) 3편, 기 6편, 발 5편, 권3에 애사 1편, 제문 16편, 상량문 4편, 가장 6편, 권4에 상언(上言) 3편, 잡저 6편, 부록으로 유사·행장·묘갈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산묘변시상언(陶山廟變時上言)」은 도산서원 사당의 원위(元位) 탁자가 없어지고 배위(配位) 전복사건이 일어나자, 위패를 속히 제자리에 봉안하고 아울러 그 범인을 수색하여 처벌할 것을 건의하는 내용이다.

잡저 중 「고해잡록(苦海雜錄)」은 일생 동안 고생하면서 살아온 자신의 이력서로 여섯 항목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인기지고(忍飢之苦)」는 가난하여 굶주림을 참은 것, 「내한지고(耐寒之苦)」는 추위를 견디어낸 것, 「공업지고(攻業之苦)」는 고생을 하면서 공부를 한 것, 「장옥지고(場屋之苦)」는 과시에 나아가 고생을 한 것, 「간사지고(幹事之苦)」는 가사 감독을 하면서 고생을 한 것, 「처세지고(處世之苦)」는 처세가 어렵다는 것을 기록한 것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