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의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수태위 중서시랑평장사, 수태보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절지(節之)
시호
영렬(英烈)
이칭
금극의(琴克儀), 철태수(鐵太守), 금학사(琴學士)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153년(의종 7)
사망 연도
1230년(고종 17)
본관
봉화
출생지
계양 김포현
주요 관직
청도감무|수태위 중서시랑평장사|수태보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수태위 중서시랑평장사, 수태보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봉화(奉化). 첫 이름은 금극의(琴克儀), 자는 절지(節之). 삼한공신(三韓功臣) 금용식(琴容式)의 후예이다. 고향은 원래 경상도 봉화현(奉化縣)인데, 나중에 계양(桂陽)의 김포현(金浦縣)으로 본적을 바꾸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써 글짓기를 잘 하였으나 여러 번 과거에 낙방, 청도(淸道)의 감무로 나갔는데, 강직하여 굽히지 않으므로 백성들이 철태수(鐵太守)라고 하였다.

1184년(명종 14) 과거에 응시하여 장원으로 급제하고 내시(內侍)에 보직되었다. 최충헌(崔忠獻)이 문사를 구할 때 이종규(李宗揆)의 추천으로 발탁되자 요직을 거치고, 신종(神宗) 때에 상서우승 우간의대부 태자찬선대부가 되었으며, 한때 장작감(將作監)으로 좌천되기도 하였으나, 희종(熙宗) 때 지주사(知奏事)·지이부사(知吏部事) 등을 지냈다.

1211년(강종 즉위년) 왕의 즉위에 대한 책명사의 접대에 공을 세우고 첨서추밀원사 좌산기상시 한림학사승지(簽書樞密院事左散騎常侍翰林學士承旨)에 올랐다. 1215년(고종 2) 정당문학 수국사(政堂文學修國史), 수태위 중서시랑평장사(守太尉中書侍郎平章事)가 되고, 1220년 벽상공신(壁上功臣)이 되었으며, 수태보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守太保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判吏部事)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여러 번 지공거가 되어 명사(名士)가 많이 나왔으니, 세상에서는 이르기를 ‘금학사옥순문생(琴學士玉筍門生)’이라 하였다. 문장에도 뛰어나 『한림별곡(翰林別曲)』에는 금학사(琴學士)로 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영렬(英烈)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금의 묘지명」(김용선, 『고려묘지명집성』)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