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수 ()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홍문관응교, 김해부사, 승정원우부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공립(公立)
만회(晩悔)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90년(정조 14)
사망 연도
1854년(철종 5)
본관
의성(義城)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홍문관응교|김해부사|승정원우부승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홍문관응교, 김해부사, 승정원우부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공립(公立), 호는 만회헌(晩悔軒). 아버지는 호군(護軍) 김재인(金在仁)이며, 어머니는 남양홍씨로 홍종해(洪宗海)의 딸이다. 가학을 이어받았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30년(순조 30) 정시문과에 을과로 주1, 2년 뒤 승문원정자에 임명되었고, 1834년 명릉별검(明陵別檢)에 제수되었다. 헌종이 즉위하자 2월에 성균관전적을 거쳐 예조좌랑에 임명되었고, 이 때 왕명을 받들어 칙사(勅使)를 영접하였다.

그 뒤 사간원정언 · 사헌부지평 · 홍문관수찬 · 장악원판사 · 현풍현감 등을 지냈다. 현풍현감에 재직하면서 아울러 창녕 · 청도 · 양산 · 영산의 4군을 다스릴 때, 밀양포(密陽浦)에 수송해 온 세미(稅米)를 둘러싸고 밀양의 관리들이 농간을 부리자 이 사실을 조정에 보고, 민생의 안정을 도모하여 주민들이 송덕비를 세웠다.

1847년(헌종 13) 다시 지평에 제수되었고, 홍문관응교 · 김해부사 · 승정원우부승지 등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한때 경연에서 임금에게 정치의 요체와 중농정책 · 교육의 진흥 등에 관해 상주하기도 하였다. 저서로는 주2이 있다.

참고문헌

『국조방목(國朝榜目)』
『만회헌문집(晩悔軒文集)』
『헌종실록(憲宗實錄)』
주석
주1

문과 급제 : 『국조방목(國朝榜目)』 卷之九(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

주2

김건수 저술 : 『만회헌문집(晩悔軒文集)』(국립중앙도서관 우촌古3648-10-13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