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장악원주부, 예조좌랑, 군자감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일으켜 항쟁한 의병.
이칭
백형(伯亨)
오천(鰲川)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43년(중종 38)
사망 연도
1621년(광해군 13)
본관
울산(蔚山)
주요 관직
군자감정
관련 사건
임진왜란|정유재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장악원주부, 예조좌랑, 군자감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일으켜 항쟁한 의병.
개설

본관은 울산(蔚山). 자는 백형(伯亨), 호는 오천(鰲川). 아버지는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김응정(金應井)이며, 어머니는 옥천조씨(玉川趙氏)로 주부(主簿) 조숙견(趙淑堅)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유년 시절에 큰아버지인 김응두(金應斗)에게 『효경(孝經)』 · 『소학(小學)』 등을 배운 뒤 족형(族兄)인 김인후(金麟厚)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기효간(奇孝諫) · 정운용(鄭雲龍) · 변이중(邊以中) 등과 학문을 강론(講論)하였다.

건릉참봉(健陵參奉)에 천거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이듬해에 다시 내섬시봉사(內贍寺奉事)에 제수되었는데, 모친상(母親喪)을 당해 사직했다가 삼년상을 치른 뒤 장악원주부(掌樂院主簿)가 되었다. 1591년(선조 24) 정철(鄭澈)의 천거로 예조좌랑(禮曹佐郎)에 임명되었으나, 정철이 강계(江界)로 유배를 당하자 두문불출하였다.

이듬해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종제(從弟) 김신남(金信男) 및 두 아들 김극후(金克厚) · 김극순(金克純)과 기효간 · 윤진(尹軫) 등과 함께 장성(長城)의 남문(南門)에서 도내(道內)에 격문(檄文)을 띄워 의병과 군량을 모집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에도 다시 의병을 모집해 크게 활약하였다. 이듬해에 그 공로로 군자감정(軍資監正)에 승진하였다.

1601년에는 영의정 윤승훈(尹承勳)이 충의(忠義)를 조정에 천명했으며, 공조참판 · 의금부동지사 · 동지중추부사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나가지 않자 조정에서 여러 차례 상을 내렸다. 죽은 뒤에 회계사(晦溪祠) · 오산사(鰲山祠) 등에 제향되었고, 저서로는 『오천집(鰲川集)』 2권 1책이 주1

참고문헌

『오천집(鰲川集)』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주석
주1

김경수 저술 : 『오천집(鰲川集)』 (국립중앙도서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