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낙행 ()

김낙행의 구사당집 중 권수면
김낙행의 구사당집 중 권수면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기법질의』, 『강록간보고의』, 『구사당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간부(艮夫)
구사당(九思堂)
이칭
진행(晉行), 퇴보(退甫)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08년(숙종 34)
사망 연도
1766년(영조 42)
본관
의성(義城)
출생지
경상북도 안동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기법질의』, 『강록간보고의』, 『구사당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의성(義城). 초명은 진행(晉行). 초자는 퇴보(退甫), 자는 간부(艮夫), 호는 구사당(九思堂). 아버지는 교리 김성탁(金聖鐸), 어머니는 무안박씨(務安朴氏)로 통덕랑 박진상(朴震相)의 딸이다. 경상북도 안동 출신. 이재(李栽)의 문인으로 그는 『근사록(近思錄)』·『심경(心經)』 등에 조예가 깊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37년(영조 13)에 홍문관교리로 재직하던 아버지가 사도세자의 추존문제로 무고를 받고 있던 이재를 변호하다가 이해로(李海老)·신헌(申瀗) 등의 탄핵을 받아 제주도에 유배되자 아버지를 따라갔다. 그 뒤 아버지가 광양(光陽)에 이배되어 죽자 고향에 돌아가 장사지냈다.

효행이 지극하고 문장으로 이름이 났으며, 특히 제문에 뛰어나서 구제밀찰(九祭密札: 구사당(九思堂) 김낙행(金樂行)의 제문, 밀암(密庵) 이재(李栽)의 편지라는 뜻)의 미칭(美稱)이 전한다. 저서로는 『계몽질의(啓蒙質疑)』·『기법질의(耆法質疑)』·『상복경전주소통고(喪服經傳註疏通考)』·『강록간보고의(講錄刊補攷疑)』·『구사당집(九思堂集)』 등이 있다.

참고문헌

『구사당집(九思堂集)』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
『전고문헌(典考文獻)』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