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우 ()

목차
관련 정보
개신교
인물
일제강점기, 한국교회의 초기 부흥사로 기독교조선감리회 3대 감독을 역임한 목사.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3년 9월 21일
사망 연도
1939년 9월 17일
본관
안동 김씨
출생지
경기도 강화
주요 경력
기독교조선감리회 감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종우는 일제강점기 한국교회의 초기 부흥사로 기독교조선감리회 3대 감독을 역임한 목사이다. 1901년 9월 세례를 받고 1907년 배재학당(培材學堂)에 입학하여 처음으로 신교육을 접했다. 은혜의 체험으로 훗날 유명한 부흥사와 목회자로 성공하였다. 정동교회 담임 목사로 부임할 정도로 목회 실력과 설교의 능력을 인정받았다. 1938년 10월 기독교조선감리회 제3대 감독으로 선출되었다. 전체 조선감리교회의 행정을 맡은 책임자로 감독직을 수행하였으며, 부흥회를 계속 인도하면서 감리교를 영적으로 크게 부흥시켰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한국교회의 초기 부흥사로 기독교조선감리회 3대 감독을 역임한 목사.
인적사항

김종우는 1883년 경기도 강화군 위량면 흥천동 천곡마을에서 태어났다. 유학자인 할아버지 김용하 밑에서 정통 유학유교 교육을 받았다. 1901년 김용하가 예수를 믿기로 결심한 후 예배당에 나가게 되자 김종우도 기독교의 교훈을 배우던 중 결심하고 개신교인이 되었다. 1901년 9월 스크랜턴(W. B. 주1 목사에게 세례를 받고 11월에 주2이 되었다.

주요 활동

1907년 배재학당(培材學堂)에 입학하여 처음으로 신교육을 접했으며, 졸업 후에는 관리의 꿈을 버리고 사업가로 성공하려고 친구와 함께 만주로 떠났다. 그러나 친구가 주3에 의해 죽임을 당하는 현장을 보고 국내로 돌아오게 되었다. 그때 김종우는 하늘의 음성을 듣고 인간 영혼의 구원을 위해 헌신하기로 결심하고 본격적인 신학 훈련을 위해 피어선 성경학원에 입학하였다.

1913년부터 정동교회 목사 현순(玄楯) 밑에서 전도사로서의 훈련을 쌓아갔다. 현순 목사를 따라 4개월간 새벽마다 남산 꼭대기에 올라가서 기도하던 중 깊은 종교적 체험을 하였다. 이때 받은 은혜의 체험으로 훗날 유명한 주4주5로 성공하였다. 1915년 피어선 성경학원을 졸업한 후 감리교 협성신학교에 입학하여 공부하였고, 1917년에 졸업하였다.

1916년 집사 목사 주6를 받았으며, 1917년 동대문교회 담임 목사로 부임하였고, 2년 뒤 정동교회 담임 목사로 부임할 정도로 주7 실력과 설교의 능력을 인정받았다. 정동교회에서의 제1차 목회(1919~1927) 중 정동교회를 크게 부흥시켰다. 1923년 국내에서는 최초로 ‘하기 아동 성경학교’를 개설했으며, 1927년부터 1929년까지 2년간 경성 지방의 주8로 인사와 행정을 맡았다. 1929년부터 3년간 상동교회를, 1932년부터 2년간 수표교회를 담임하다가, 1934년부터 다시 정동교회로 돌아와 4년간의 제2차 정동교회 목회시대를 열었다.

1938년 10월 기독교조선감리회 총회에서 2일 동안 21회에 걸쳐 투표를 해도 감독 당선자가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3일째에 총회원들이 피곤한 상태에 있을 때 창문으로 비둘기 1마리가 들어와 김종우 앞에 내려 앉았다. 총대들이 이 광경을 보고 김종우에게 절대 다수 표를 주어 제3대 감독으로 선출되었다. 이 일을 통해 전체 조선감리교회의 행정을 맡은 책임자로 감독직을 수행하였으며 계속 부흥회를 인도하면서 감리교를 영적으로 크게 부흥시켰다.

그러나 감독직을 1년밖에 수행하지 못한 채 1939년 9월 17일 병으로 사망하였다. 1939년 9월 21일 정동제일교회에서 ‘감리교회장’이 치뤄졌다. 김종우의 온화한 인품과 영력이 넘치는 설교, 그리고 부흥 운동은 당시 한국 교회와 백성들에게 큰 위안과 소망을 심어 주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강매, 『정동교회삼십년사』 (1915)
기독교대한감리회 역사위원회, 『한국 감리교 인물사전』 (기독교대한감리회, 2002)
오영교, 『정동제일교회 125년사』 (정동삼문출판사, 2011)

기타 자료

The Korea Mission Field (Nov. 1939)
「목사 김종우 씨」, 『승리의 생활』 (조선기독교창문사, 1927)
주석
주1

윌리엄 밴턴 스크랜턴, 미국의 선교사ㆍ의사(1856~1922). 어머니인 스크랜턴(Scranton, M.)과 함께 우리나라에 와 병원을 지어 고종으로부터 ‘시병원(施病院)’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았다. 우리말샘

주2

기독교 감리회에서 구역별 모임인 속회(屬會)를 맡아 인도하는 교직. 또는 그 교직을 맡은 사람. 우리말샘

주3

말을 타고 떼를 지어 다니는 도둑의 무리. 우리말샘

주4

교인들의 믿음을 보다 깊고 굳게 하며 회개하게 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5

교회를 맡아 설교하거나 신자의 신앙생활을 지도하는 사람. 또는 그런 직업. 우리말샘

주6

기도를 할 때 또는 성직 수여식이나 기타 교회의 예식에서, 주례자가 신자의 머리 위에 손을 얹는 일. 우리말샘

주7

목사가 교회를 맡아 설교하거나 신자의 신앙생활을 지도하는 등 공식적으로 행하는 활동. 형태는 교회에 따라 다양하며 초대 교회에서 발전한 형태는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따위의 몇몇 교회에 보존되어 있다. 우리말샘

주8

감리교 교직의 하나. 또는 그 직에 있는 사람. 지방 여러 교회를 감독ㆍ관리한다. 임기는 나라마다 다르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