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하서전 ()

고전산문
작품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작품/문학
창작 연도
조선 후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하서전」은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조선 전기의 도학자인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를 주인공으로 하는 야담계 고전소설로, 『잡기유초(雜記類抄)』에 실려 있다. 창작 시기는 17세기 중·후반을 상회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근엄하기만 한 도학자의 모습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미색에 흔들리기도 하지만 결국 이를 잘 극복하는 인간적인 면모가 작품에 나타난다. 실제 김인후의 행적과는 거리가 있지만, 김인후에 대한 민간의 상상력과 친밀감·존숭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정의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구성 및 형식

한문 필사본. 조선 전기의 문신인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를 소설화한 야담계(野談系) 고전소설로, 『잡기유초(雜記類抄)』(국립중앙도서관 소장)에 실려 있다. 창작 시기는 본격적 야담이 등장하는 17세기 중 · 후반을 상회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반부의 보은담과 후반부의 가짜 열녀담이 결합된 형태로 서사가 구성되어 있다.

내용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김하서는 젊은 시절에 과거를 보러 서울로 올라가던 중 한 아리따운 여인의 얼굴을 보게 된다. 그 순간 욕정(欲情)과 도학자로서의 윤리 사이에서 갈등하던 하서는 결국 여인을 뒤쫓게 된다.

여인은 1년 전에 과부가 된 양반집 규수였는데, 그날 밤 내방(內房)을 엿보던 하서가 발견한 광경은 놀랍게도 여인이 어떤 젊은 중과 희롱하고 있는 장면이었다.

의분을 느낀 김하서는 단검으로 중을 찔러 죽이고, 남편을 죽인 후 음행(淫行)을 일삼은 여인의 행동을 꾸짖는다. 하지만 여인은 자신이 겁탈당한 것이며, 남편을 죽인 것도 중의 소행이라고 호소한다. 그러자 김하서는 그 말을 믿고 방을 나온다.

그런데 얼핏 잠이 든 김하서의 꿈에 여인의 남편이 나타나, 자신의 처와 중이 결탁하여 자신을 살해한 후 집 뒤의 대나무 숲에 암매장하고 사람들에게는 자신이 범한테 물려 갔다는 거짓 소문을 퍼뜨렸다는 사실을 밝힌다.

또한 김하서로 하여금 여인의 얼굴을 보고 집까지 따라오게 한 것도 자신이 한 일이라고 하면서 원수를 갚아 준 데에 대한 보답으로 과장(科場)의 시험 문제와 답을 가르쳐 준다.

하서는 귀신이 알려 준 대로 답안을 작성해 장원급제하고, 고향으로 내려가는 길에 다시 과부 집을 지나게 되는데 거기서 열녀문(烈女門)을 보게 된다.

그 내력이 야밤에 자신을 겁탈하려던 중을 칼로 찔러 죽인 여인의 절행(節行)을 기린 것이라는 말을 듣고, 김하서는 이튿날 수령을 만나 자초지종을 말하고 대나무 숲을 파헤쳐 남편의 시신을 확인하게 한다. 모든 사실이 밝혀져 여인은 의금부(義禁府)로 압송되고 열녀문은 헐린다.

의의 및 평가

이 작품은 도학자를 소설적으로 형상화하는 민간적 상상력의 속성과 경향을 짐작하게 한다는 점에서 일정한 의의를 가진다. 소설 속에서 김인후는 근엄하기만 한 도학자가 아니다. 오히려 일시적으로 미색(美色)에 혹하여 갈등하기도 하는 인간이지만, 그럼에도 이를 잘 극복해 도덕과 의리를 지키는 모습을 보여 준다. 욕정을 품었던 선비가 결국 음녀(淫女)를 징치하는 내용이 조선 후기에 한글로 번역되었던 중국의 단편소설집 『형세언(型世言)』의 삽화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는 의견도 있지만, 조광조를 비롯한 이황· 조식 등 유학자를 소재로 하는 설화 중 성(性)과 관련된 이야기가 다수 전하는 것을 볼 때 근엄한 유학자의 감춰진 이면에 대한 민간의 호기심과 상상력이 빚어낸 설화적 전통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김하서전」과 같은 야담계 소설에서는 실제 사실과의 일치 여부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그에 관한 인물전설에서도 확인되는, 김하서에 대한 민간의 친근감과 존숭(尊崇)의 태도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이 소설에서 주목해야 할 점이다.

참고문헌

원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잡기유초(雜記類抄)』
『하서집(河西集)』

논문

김수연, 「명말 상업적 규범소설의 형성과 조선 왕의 소설 독서-규장각본 『형세언(型世言)』을 중심으로」(『고전문학연구』 47, 한국고전문학회, 2015)
김용기, 「퇴계 이황 등장 설화의 성(性) 수용 양상과 설화적 인식」(『우리문학연구』 40, 우리문학회, 2013)
문성대, 「조광조 관련 문헌설화의 개변 양상과 그 의미」(『우리어문연구』 33, 우리어문학회, 2009)
박희병, 「민간의 상상력과 도학자의 소설적 형상화」(『관악어문연구』 20,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5)
윤주필, 「설화에 나타난 도학자상(道學者像)」(『남명학연구』 7,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