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록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세자익위사세마를 역임한 문신.
이칭
여수(汝綏)
한간(寒澗)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22년(경종 2)
사망 연도
1790년(정조 14)
본관
경주(慶州)
주요 관직
세자익위사세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세자익위사세마를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여수(汝綏), 호는 한간(寒澗). 할아버지는 증좌찬성 김두광(金斗光)이고, 아버지는 현감 김운경(金運慶)이며, 영조의 장인인 김한구(金漢耉)의 종제이다. 우의정 김관주(金觀柱)의 아버지이다. 한원진(韓元震)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종질녀가 영조의 계비인 정순왕후(貞純王后)가 되자 그 후광을 업고 중앙의 명사들과 교유하고 노론벽파(老論僻派)의 당론을 조종하는 등 당쟁에 깊이 관여하였다.

관직은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에 그쳤으나, 종질인 김구주(金龜柱)와 함께 김상로(金尙魯)·홍계희(洪啓禧)·정휘량(鄭翬良)·신만(申晩) 등 벽파 대신들을 조종하여 1762년(영조 38) 사도세자(思悼世子)의 허물을 들추어내어 죽게 하였다.

이어서 벽파(僻派)가 더욱 득세하자 시파(時派)의 핵심인물인 홍봉한(洪鳳漢)을 탄핵하여 관직에서 물러나게 하고, 왕세손(뒤의 정조)까지 해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죽은 뒤 죄에 대한 추율안(追律案)이 비등하여져, 1806년(순조 6) 김이양(金履陽) 등의 무고로 관작이 추탈되었다가 1864년(고종 1)에 관작이 회복되었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만성대동보(萬姓大同譜)』
『경주김씨장단공파세보(慶州金氏長湍公派世譜)』
『은파유고(恩坡遺稿)』(심낙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