꺽정이

목차
동물
생물
둑중개과에 속하는 민물고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둑중개과에 속하는 민물고기.
내용

학명은 Trachidermus fasciatus (Heckel, 1837)이다. 몸길이는 17㎝ 내외로서 머리와 몸의 앞부분이 종편(縱扁)하여 상하로 넓적하고 배쪽이 평탄하다.

눈이 크며 눈 밑과 머리의 등쪽에 융기된 주름이 잡혀 있으며, 아가미뚜껑뼈에는 4개의 가시가 있는데 맨 위의 가시는 갈고리 모양이다. 등지느러미는 하나이나 가시부와 연조부의 경계에 깊은 결각(缺刻깊게 파여진 모양)이 있어 두 개인 것처럼 보인다.

몸빛은 황적갈색을 띤 담갈색인데, 배쪽은 백색이다. 옆구리에는 4, 5줄의 폭이 넓은 회색띠가 가로로 그어져 있다. 새막(鰓膜아가미막)은 주홍색으로 곱고, 산란기가 되면 자웅 모두 새막과 뒷지느러미 기부에 선명한 붉은색의 혼인색을 나타낸다. 주로 서해안으로 흘러들어가는 압록강·대동강·한강 등의 하천에 분포하며, 일본과 중국의 일부 지방에도 분포한다.

성어는 여름에 하천 중류의 바닥이 자갈이나 모래로 된 곳에서 혼자 살면서 낮에는 돌 밑에 숨고 밤에 나와서 주로 갑각류를 잡아먹는다. 가을에는 하류로 내려가 월동한다. 1∼3월경에 하구나 간석지에서 산란하며, 산란·방정(放精) 후에는 사망한다. 치어는 3㎝ 정도로 자라면 하천으로 올라온다.

중국에서는 옛날부터 맛있는 물고기로 이름나 ‘송강지로(松江之鱸)’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 유희(柳僖)의 『물명고』에는 ‘노(鱸)’를 한글로 ‘걱졍어’라고 적고 있다. 『임원십육지』에는 ‘노’를 ‘거억졍’이라고 적고, “노(盧)는 흑(黑)인데 물고기의 빛깔이 검어서 노(盧)자를 따라 노(鱸)라고 한다.”고 하였다. 또 “그 맛이 아주 좋으며, 하늘이 마련해 준 횟감”이라고 하였다.

꺽정이를 노 또는 노어라고 하는 것은 중국식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아언각비』에서 농어를 ‘노어’라고 한 것과 같이 농어를 노어라 하였으므로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토산조에 보이는 노어는 농어이고 꺽정이가 아니다.

참고문헌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물명고(物名考)』
『아언각비(雅言覺非)』
『경남(慶南)의 자연(自然)』 -담수어편(淡水魚篇)-(최기철, 경상남도교육위원회, 1983)
『한국어도보(韓國魚圖譜)』(정문기, 일지사,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