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만봉리 석조 여래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나주 만봉리 석조여래입상 정면
나주 만봉리 석조여래입상 정면
조각
유물
문화재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 만봉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불.
목차
정의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 만봉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불.
내용

전체 높이 230㎝. 1976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석불은 만봉리 저수지에서 서쪽으로 약 200m 떨어진 산록에 동쪽을 향해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현재 밭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암자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석불의 밑 부분이 땅에 묻혀 대좌는 파악할 수 없지만 1매의 화감암을 사용하여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와 불신을 조각하였다. 불상의 상호(相好 :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는 갸름하고 지긋이 웃고 있는 형상이다.

그리고 소발(素髮 : 민머리)의 머리칼에 큰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를 갖추었다. 호형(弧形 : 활 모양)을 그리면서 곱게 흐른 눈썹과 거의 감은 듯한 눈, 둥그런 얼굴 등에서 부처의 자비를 느낄 수 있다. 귀는 길게 처져 어깨에 닿고 있으며 목에는 삼도가 표현되었다.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이다. 상체의 의습(衣褶 : 옷주름)은 U자형의 주름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려하고 맵시 있게 타원형을 그리며 내려온다. 그리고 다리 사이를 Y자형으로 가르면서 양다리에 동심원형의 의문(衣文 : 옷자락 무늬)을 이루고 있다.

가슴의 U자형 평행 단상은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과 동일한 형식이다. 가슴 아래에서 다리까지의 의문은 영주 석교리 석불과 흡사한 기법을 보이고 있다. 겨드랑이에서 가슴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볼륨감이 있어 고식(古式)을 따르고 있다. 수인(手印)은 양팔을 약간 구부려서 오른손은 시무외인을 하고 왼손은 여원인을 결하고 있다.

광배는 주형 거신광인데 내부에 아무런 장식도 없다. 이 불상은 고도의 경지에 이른 심오한 깨달음을 미소로 나타낸 듯한 원만한 상호(相好)를 보여주고 있는데, 전남 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수작이다. 조각기법이나 양식적인 면에 볼 때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나주시(羅州市)의 불교유적(佛敎遺蹟)』(성춘경·이주승, 목포대학교박물관·나주시, 1999)
『호남(湖南)의 불교문화(佛敎文化)와 불교유적(佛敎遺蹟)』(최인선 외, 백산서당, 199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인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