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권 1책. 목활자본. 그의 후손인 재정(在鼎)·한석(漢奭)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송규헌(宋奎憲)의 서문과 권말에 10대손 한기(漢琦)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33수, 잡저 1편, 서(序) 1편, 권2·3은 부록으로 연보·가장·행장·유사·발문·원우전말(院宇顚末)·상량문·봉안문·상향문(常享文)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역사적인 인물에 대한 평시(評詩)와 용·거북·봉황·기린 등 상징적인 동물을 소재로 한 작품이 주조를 이루고 있다.
잡저 가운데 「예변(禮辨)」은 조대비(趙大妃)의 복상시기(服喪時期)에 대하여 의론이 분분하자, 고사를 열거하여 1년으로 시행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한 내용이다.
「무곡서당서(武谷書堂序)」는 자제의 교육을 위하여 무곡산(武谷山)에 서당을 건립하고 쓴 것으로, 면학을 권장하는 내용이다. 행장·유사·봉안문·연보 등은 후인들이 그의 학행을 추모하여 기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