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활자본. 1920년경 8세손 동규(東奎)가 편집, 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권두에 권상규(權相圭)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안술연(安珬淵)의 소서(小序)와 이현구(李賢求)·김병현(金炳玹), 8세손 동규, 7세손 문제(文濟)·석제(奭濟)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은 부 1수, 시 41수, 사 1편, 명 1편, 서(書) 2편, 기 2편, 서(序) 1편, 발 1편, 상량문 1편, 제문 3편, 잡저 1편, 권2는 부록으로 가장·행장·묘갈명·묘지명·남헌중수소기(楠軒重修小記)·중수시지감운(重修時志感韻)·유허추감운(遺墟追感韻)으로 구성되어 있다.
잡저의 「동중독약조목(洞中讀約條目)」은 1746년(영조 22) 마안리 사람들에게 글을 가르칠 때의 독약조목으로, 「주례대사도향삼물팔형(周禮大司徒鄕三物八刑)」·「주자증손남전여씨향약(朱子增損藍田呂氏鄕約)」·「퇴계선생향약조(退溪先生鄕約條)」·「백록동규(白鹿洞規)」·「동중절목십조(洞中節目十條)」 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향약홀기(鄕約笏記)와 향약도(鄕約圖)를 붙여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