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계집 ()

목차
관련 정보
김재현의 노계집 중 표지
김재현의 노계집 중 표지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김재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재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연활자본. 1936년 그의 9세손 학렬(學烈)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오진영(吳震泳)의 서문과 권말에 학렬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미국 UC버클리대학교 도서관(UC Berkeley Library) 등에 있다.

권1에 소계(疏啓) 22편, 묘표 1편, 행장 1편, 권2에 시 191수, 권3은 부록으로 교서·사제문·가장(家狀)·신도비·묘지·만사·유사·기사진신소록(己巳搢紳疏錄)·청백리천기(淸白吏薦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계 가운데 「사장령겸진시사소(辭掌令兼陳時事疏)」는 장령을 사직하면서 올린 상소문으로, 여러 해 갚지 못하여 누적된 진급(賑給)을 풍년에 한꺼번에 상환하게 하는 것은 가혹한 행위이니 시정해야 하며, 또한 유산(流散)한 자와 일가가 모두 사망한 자의 상환하지 못한 수량은 일체 탕감해야 한다고 주장한 내용의 글이다.

「헌부진과폐계(憲府陳科弊啓)」는 근래 과장(科場)의 폐단으로 인하여 선비들의 풍습이 점점 불성실하고 금지 사항에 대해서 더욱 해이하여 지나치고 잡스러운 일이 많아질 것이라면서 과장의 혁신을 강력히 주장한 글이다.

「선유어사시서계(宣諭御史時書啓)」는 경상도일대를 편답하며 목민관의 치적과 민간의 질고 등을 일일이 탐사하여 잘잘못을 지적한 것이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