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패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개념
조선시대, 녹봉을 받는 문무관원 · 군직체아 · 종친 · 공신 · 봉조하에게 녹봉 수령 자격을 증명하기 위해 내려주는 증서.
내용 요약

녹패는 녹봉을 받는 문무 관원, 군직체아·종친·공신·봉조하 등의 녹관들에게 녹봉 수령 자격을 증명하기 위해 내려주는 증서이다. 조선 초기에는 삼사에서 발급하다가 1466년(세조 12)부터 이조와 병조에서 문관과 무관을 나누어 발급하였다. 녹패를 받은 자는 고신을 지참하여 광흥창에 가서 녹봉을 수급할 수 있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녹봉을 받는 문무관원 · 군직체아 · 종친 · 공신 · 봉조하에게 녹봉 수령 자격을 증명하기 위해 내려주는 증서.
내용

녹패(祿牌)는 녹봉(祿俸)을 받는 자들의 수급 자격을 증명하기 위해 발급한 증서이다. 무록관(無祿官)을 제외한 녹관(祿官)에게만 지급되었고, 여기에는 문무 관원, 주2, 주4, 공신, 봉조하 등이 포함되었다. 조선 초기 녹패 발급은 삼사(三司)가 담당하였다. 1401년(태종 1) 삼사의 명칭이 사평부(司平府)로 바뀌었고, 사평부는 1405년(태종 5) 호조(戶曹)에 흡수되었다. 이후부터 문무 관원의 녹패 발급을 이조(吏曹)에서 일괄적으로 담당하다가 1466년(세조 12)부터 이조와 병조(兵曹)가 문관과 무관을 분담하여 녹패를 발급하기 시작하였다.

녹패에는 수급인의 녹과(祿科)와 발급 관원을 기재하고 인장을 찍었다. 간혹 녹과가 표기되지 않은 녹패가 발급되기도 하였으며, 녹패의 외면에 수급자의 신상이 기재된 녹패도 발견된다. 녹봉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고신(告身)과 녹패가 필요했다. 『 대전통편(大典通編)』 시행 이전에는 호조에서 발급하는 급록 소지(給祿所志)까지 지참해야 했지만, 언제부터 급록 소지가 등장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대전통편』 시행 이후에는 고신과 녹패만을 확인한 뒤 녹봉을 수령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 녹봉은 초기에는 고려의 제도를 따라 정월과 7월에 2차례 지급하다가, 1439년(세종 21)부터 춘하추동 4차례 지급하는 것으로 바뀌어 『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법제화되었다. 임진왜란 이후 국가 재정이 악화되면서 주1마다 녹봉을 주던 규정을 중지하고, 매달 기존 녹봉보다 적은 주3를 지급하기 시작하였다. 1601년(선조 34) 녹봉제를 복구하였지만, 지급 물종과 규모는 그 이전부터 이미 크게 줄어든 상태였다. 그마저도 재정 문제로 인하여 얼마 뒤 산료제로 돌아갔고, 이후 재정 상황에 따라 녹봉제와 산료제를 오가다가 1647년(인조 25) 녹봉제가 다시 시행되었다. 극심한 흉년으로 인하여 1671년(현종 12) 산료제로 바뀐 뒤 1676년(숙종 2) 다시 녹봉제가 복구됐지만, 역시 몇 차례 변경을 거치며 1695년(숙종 21)부터는 완전히 산료제로 고정되었다.

녹봉은 녹과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경국대전』에서는 녹과를 18과로 구분하였다. 제1과에는 연간 도합 중미(中米) 14석, 조미(糙米) 48석, 전미(田米) 2석, 황두(黃豆) 23석, 소맥(小麥) 10석, 세포(細布) 6필, 정포(正布)15필, 저화(楮貨) 10장을 지급하였고, 제18과에는 조미 8석, 전미 1석, 황두 2석, 소맥 1석, 정포 2필, 저화 1장을 지급하였다. 산료제로 변경된 이후에는 『 속대전(續大典)』 을 기준으로 13과로 구분하였다. 제1과에는 연간 미(米) 30석 6두와 황두(黃豆) 16석을, 제13과에는 미 8석과 황두 4석을 지급하였다. 조선 전기와 후기의 녹과 차이도 크지만, 녹과에 따른 지급액의 차이도 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현황

현재 전해지는 녹패는 360여건 이상이며, 각 초이번 반록제(初二番半祿制) 시기, 사맹삭 반록제(四孟朔半祿制) 시기, 산료제 시기 등 다양한 시기의 녹패가 남아 있다.

참고문헌

원전

『현종실록(顯宗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속대전(續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전률통보별편(典律通補別編)』

단행본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韓國古文書硏究)』(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조선사료집(朝鮮史料集)』(조선사편수회, 1937)

논문

김혁, 「朝鮮時代 祿牌 硏究」(『고문서연구』 20, 한국고문서학회, 2002)
박성호, 「麗末鮮初 祿牌의 제도와 양식」(『고문서연구』 43, 한국고문서학회, 2013)
이재룡, 「朝鮮前期의 祿俸制」(『인문학연구』 5,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74)
임성수, 「조선후기 祿俸制 연구」(『동방학지』 16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5)
임영현, 「조선시대 녹패의 제도와 양식」(『고문서연구』 46, 한국고문서학회, 2015)
최정환, 「朝鮮前期 祿俸制의 整備와 그 變動」(『경북사학』 5, 경북대학교 사학과, 1982)
주석
주1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각 첫 달인 음력의 정월, 사월, 칠월, 시월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오위에 속하는 군직(軍職) 가운데 봉록은 있지만 직무가 없는 벼슬을 통틀어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벼슬아치에게 다달이 주던 녹봉. 본디 분기마다 주는 벼슬아치의 봉급을 매달에 나누어서 주었다. 우리말샘

주4

임금의 친족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