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력 ()

목차
산업
개념
계절 · 절기 및 동식물의 상태에 따라 한 해 동안의 기후 변화와 농가행사를 기술한 달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계절 · 절기 및 동식물의 상태에 따라 한 해 동안의 기후 변화와 농가행사를 기술한 달력.
내용

계절은 온대지방의 봄 · 여름 · 가을 · 겨울과 같이 1년을 비슷한 기상상태가 연속되는 기간을 기준으로 구분한 것으로, 기후학적으로는 3·4·5월 동안을 봄, 6·7·8월 동안을 여름, 9·10·11월 동안을 가을, 12·1·2월 동안을 겨울이라고 한다.

천문학적으로는 유럽에서는 춘분∼하지까지를 봄, 하지∼추분까지를 여름, 추분∼동지까지를 가을, 동지∼춘분까지를 겨울이라 한다.

동양에서는 봄은 입춘∼입하, 여름은 입하∼입추, 가을은 입추∼입동, 겨울은 입동∼입춘까지의 기간을 가리킨다. 24절기는 태음태양력(太陰太陽曆)을 사용하면 태양에 의한 실제의 계절과 한 달이나 어긋나므로, 우리 나라에서는 농업상의 편리를 위하여 태양의 위치에 따라 24등분하여 절기와 계절을 〈표〉와 같이 구분하였다.

기후 동양 서양 절기명(節氣名) 기절(氣節) 태양황경(太陽黃經) 태양력의 대충날짜 관행농사법(慣行農事法)
겨울 입춘 정월절 315 2월4일 농사 준비, 보리의 생육조사를 하여 풍흉을 예측한다.
겨울 우수(雨水) 정월중 330 2월19일 달걀을 안기고 종자를 고른다. 우수 3일 후에 비가 오면 풍년의 징조이다.
경칩(驚蟄) 2월절 345 3월6일 얼음이 녹는다. 병아리를 깐다.
춘분(春分) 2월중 0 3월21일 대맥을 파종하고 도랑을 치며 못자리의 논둑을 바르고 오이를 심는다.
청명(淸明) 3월절 15 4월5일 진달래가 핀다. 볍씨를 담그고 못자리를 고르며 보리에 추비를 하고 묘목을 심는다
곡우(穀雨) 3월중 30 4월20일 못자리에 낙종하고 논을 갈며 참외 · 고추씨를 뿌린다. 제비가 보인다.
입하(立夏) 4월절 45 5월6일 봄누에를 턴다. 목화를 심는다.
소만(小滿) 4월중 60 5월21일 논을 다시 갈고 퇴비를 주며 이앙준비를 한다. 아카시아 · 함박꽃이 핀다.
여름 망종(芒種) 5월절 75 6월6일 보리를 베고 모를 내며 콩 · 팥을 심는다.
하지(夏至) 5월중 90 6월21일 모를 낸다. 잠자리가 보인다.
여름 소서(小暑) 6월절 105 7월7일 늦모내기를 한다. 감자 · 삼을 수확한다.
대서(大暑) 6월중 120 7월23일 가을무밭을 간다. 매미가 운다.
가을 입추(立秋) 7월절 135 8월8일 가을누에를 턴다. 무 · 배추를 심는다. 논둑의 풀을 깎아서 퇴비를 만든다.
처서(處暑) 7월중 150 8월23일 벼가 팬다. 작물이 결실하기 시작한다.
백로(白露) 8월절 165 9월8일 이듬해의 장구를 준비한다.
추분(秋分) 8월중 180 9월23일 수도의 낙수기이다. 새와 짐승이 털을 간다.
가을 가을 한로(寒露) 9월절 195 10월8일 벼 · 콩 등을 수확하고, 밀 · 보리를 파종한다.
상강(霜降) 9월중 210 10월23일 보리를 다 심고 추수를 한다. 기러기가 온다.
겨울 입동(立冬) 10월절 225 11월7일 마늘을 심고 김장을 한다. 뱀이 안 보인다.
소설(小雪) 10월중 240 11월22일 메주를 쑨다. 제비가 간다.
대설(大雪) 11월절 255 12월7일 눈이 많이 오면 풍년의 징조이다.
겨울 동지(冬至) 11월중 270 12월22일 새와 짐승에 새 털이 난다. 천둥이 치면 비가 많이 올 징조이다.
겨울 소한(小寒) 12월절 285 1월5일 농사를 마치고 이웃 및 친구들과 즐긴다.
대한(大韓) 12월중 300 1월20일 쥐구멍에 연기를 피우는 등 쥐를 잡는다.
〈표〉 관행농사력(24절기와 관행농사법)
*자료 : 이은웅 외, 『재배학범론(栽培學汎論)』(향문사, 1973).

옛사람들은 자연현상이나 천체의 운행(運行)을 관찰하여 계절의 변화로부터 해[年]를, 해가 뜨고 지는 것으로부터 날[日]을, 달의 삭망(朔望)으로부터 달[月]의 길이를 정하여 사용해 왔다.

농사력은 특히 농사를 짓기 위해 마련한 역(曆)으로 태음태양력에서는 1년의 길이가 354일 또는 355일이 되므로 1회기년 365.24220일과는 11.24220일의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8년에 3회, 19년에 7회의 윤달을 넣어 계절과 맞도록 한 것이다.

참고문헌

이은웅 외, 『재배학범론』(향문사, 197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