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1책. 목활자본. 1927년 9대손 희태(希泰)·희선(希善)과 10대손 재섭(在鑷)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영한(金寗漢)의 서문과 권말에 우희태·우희선·우재섭 등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미국 UC버클리대학교 도서관(UC Berkeley Library) 등에 있다.
권1에 시 2수, 부 17편, 권2에 소 3편, 책 2편, 계 1편, 전(箋) 3편, 잡저 13편, 행장 1편, 권3·4는 부록으로 연보 1편, 만장 19수, 제문 3편, 묘비명 1편, 묘갈명 1편, 발 2편, 가장 1편, 후지(後識)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남아수독만권서부(男兒須讀萬卷書賦)」는 학문의 목적과 방법·효용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서술한 것으로, 정독보다는 다독으로 지식을 넓힐 것을 강조하였다. 그밖에 고사(故事)를 소재로 하여 언로를 확대, 민심의 소재를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는 것과 군영에서 사기를 진작시키는 일 등을 웅장한 필치로 표현한 작품들이 있다.
「청참백사림소(請斬白士霖疏)」는 정온(鄭蘊)·권극신(權克信)·유지갑(劉智甲)·신덕립(申德岦) 등과 함께 정유재란 때 수장(守將)으로서 제대로 직책을 수행하지 못한 김해부사 백사림(白士霖)을 처형할 것을 조정에 청한 것이다.
「은삼책(銀蔘策)」은 은과 인삼만을 유일한 자본으로 살아가는 산간지방의 백성들에게 과중한 부세를 징수하는 데 대하여 시정할 것을 건의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