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랑어

목차
관련 정보
참다랑어
참다랑어
동물
생물
농어목 고등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이칭
이칭
다랭이, 참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농어목 고등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내용

흔히 다랭이 또는 참치라고도 한다. 다랑어는 그 종류가 많은데, 현재 많이 잡고 있는 종류로는 참다랑어 · 날개다랑어 · 눈다랑어 · 황다랑어 · 가다랑어 등이 있다. 다랑어는 분포 수역에 따라 열대성 다랑어, 온대성 다랑어로 나뉘어지는데 일반적으로 열대성 다랑어에는 가다랑어, 눈다랑어, 황다랑어가 속하고, 온대성 다랑어에는 참다랑어, 날개다랑어 등이 속한다. 그 외 연안성 다랑어류가 있다.

참다랑어는 온대성으로 전 세계에 3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 일본, 대만, 미국, 멕시코 해역에 분포하는 태평양참다랑어, 대서양에 분포하는 대서양참다랑어, 남반구에 분포하는 남방참다랑어가 있다. 참다랑어는 다랑어 중에서 가장 크며 태평양의 것은 체장은 최고 3m, 체중은 555㎏에 달한다. 몸은 방추형이며 머리 부분은 원추형이다. 몸의 등쪽은 짙은 청색을 띄며 몸의 중앙과 배쪽은 은회색 바탕에 여러개의 폭이 좁은 가느다란 흰색 가로띠와 둥근 무늬가 나타난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고, 제1등지느러미에는 제2등지느러미에 비하여 길이가 훨씬 길며, 가슴지느러미는 짧아서 끝이 제2등지느러미 시작부분에 미치지 못한다.

남해와 동해에서 산란하며 성장하면서 태평양을 횡단하여 동부 태평양으로 회유하며 다시 산란장으로 되돌아온다. 우리나라 연안에서는 근해 대형선망과 정치망 등에 잡힌다. 살이 붉고 아름다우며 횟감으로 가장 좋다.

날개다랑어는 온대성이며 가슴지느러미가 아주 발달한 종류로, 3대양의 온대수역에서 주로 어획된다. 살이 흰색이어서 서양에서는 바다닭고기라고 하여 선호한다. 눈다랭이는 길이가 2m 정도로 다랑어류 중에서 눈이 가장 크다. 열대성으로 3대양의 열대 수역에서 어획되며 살은 연한 붉은색으로 초밥용으로 이용된다.

황다랑어는 제1지느러미를 제외한 지느러미가 황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눈다랑어와 함께 열대성으로 3대양의 열대 수역에 분포하며 살은 아름다운 복숭아빛으로 횟감이나 초밥용으로 좋다.

가다랑어는 몸 빛깔은 등쪽이 짙은 청자색을 띠고, 배 부분은 은백색 바탕에 4∼6개의 검은색 세로띠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열대성으로 3대양의 열대 해역에 주로 분포한다. 최근 전 세계 어획량이 250만 톤을 넘어서면서 어종별 어획량에서 2번째로 많은 양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주로 통조림으로 가공되어 소비되고 있다. 이밖에도 연안성 다랑어류가 있으며 우리나라 연해에는 백다랑어 · 점다랑어 등이 있다.

다랑어는 선사시대의 패총에서도 각종 물고기의 뼈와 함께 출토된 것으로 미루어 그 어획이 일찍부터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연해에는 많이 분포하지 않으며, 1957년 이후 우리나라 원양어업의 주요 어획종이다.

2014년 한국 원양어업 통계에 의하면 가다랑어 22만 9588M/T, 황다랑어 6만 3971M/T, 눈다랑어 2만 2888M/T, 날개다랑어 1,310M/T, 남방 참다랑어 783M/T 등이 어획되었다. 연해에서는 같은 해 참다랑어 1,309M/T이 어획되었다. 어획한 다랑어는 대부분 횟감과 통조림으로 수출하며 우리나라 수산물 어획량 및 수출 1위 품목이다.

참고문헌

『수산정보포털 원양어업통계』(해양수산부, 2015)
『원양어류도감』(국립수산과학원, 한글그라픽스, 2010)
『참치·가다랭이어업실무』(노재동, 수산경제사, 1980)
『한국어도보』(정문기, 일지사, 1977)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