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궁잠오 ()

목차
관련 정보
단궁잠오
단궁잠오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이 『예기』 단궁편의 상례 내용에서 불합리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 논변한 예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이 『예기』 단궁편의 상례 내용에서 불합리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 논변한 예서.
내용

6권 2책. 필사본. 1802년(순조 2)에 편정(編正)하였다.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상례외편(喪禮外編)에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공의중자지상단궁문언(公儀仲子之喪檀弓免焉) 등 44항목, 권2에 공자지상문인의소복(孔子之喪門人疑所服) 등 27항목, 권3에 송양공장기부인(宋襄公葬其夫人) 등 34항목, 권4에 유약지상도공조언자유빈유좌(有若之喪悼公弔焉子游擯由左) 등 22항목, 권5에 위사도경자사(衛司徒敬子死) 등 29항목, 권6에 연릉계자적제어기반야기장자사(延陵季子適齊於其反也其長子死) 등 18항목, 부록인 타편잠오부(他篇箴誤附) 등 14항목이 수록되어 있다.

부록은 『예기』 단궁 외의 설로, 『잡기(雜記)』·『상대기(喪大記)』 등에서 상례에 관한 것을 간추려 뽑은 것이다. 기술에 있어서는 각 항목에 원문을 쓰지 않고 원문의 여러 주소(注疏)를 앞에 쓰고 ‘잠왈(箴曰)’의 표기 밑에 저자의 잠오를 기술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상례의 예식에 관한 것이 아니라, 예에 대한 기본을 밝힌 일종의 이론서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예기(禮記)』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